논문 상세보기

반려견을 동반한 동물교감활동 프로그램이 보호자의 반려견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an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with Companion Dogs on Dog Owners’ the Attachment to their Dog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반려견과 함께하는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반려견 보호자 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20∼30대 반려견 보호자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으로 각각 무선대치 하고, 주 2회씩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반려견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LAPS 척도 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 분석은 Ryff(1989)의 척도를 수정한 한 국판 척도를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7.0을 활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s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반려견 애착 점수는 사전 평균 2.49점에서 사후 3.65 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 중 환경지배력,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반려견 보호자의 정서적 유 대감과 심리적 복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an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involving companion dogs on dog owner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welve companion dog own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12-session program conducted twice a week. Attachment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Lexington Attachment to Pets Scale (LA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ssessed using a Korean adaptation of Ryff’s scal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The experimental group’s attachment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2.49 to a post-test mean of 3.65.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also observed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ubdomains of environmental master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personal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imal-assisted activities with companion dogs can positively affect dog owners’ emotional bond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반려견 애착
    2. 심리적 안녕감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프로그램 구성
    5. 자료 분석 방법
    6. 윤리적 고려
Ⅳ. 연구 결과
    1.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반려견 애착에 미치는 효과
    2.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3.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자아수용에 미치는 효과
    4.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환경지배력에 미치는 효과
    5.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6.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7.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삶의 목적에 미치는 효과
    8.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개인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성진(원광대학교) | Sung-Jin Lee (Wonkwang University)
  • 강원국(원광대학교) | Won-guk Kang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