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rade Unions of North Korea and its Drivers :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a
중국의 공회와 북한 직업동맹이 걷고 있는 길, 혹은 장래 전망은 각각 의 나라들이 처해 있는 국가-노동관계와 사회경제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다. 개혁개방 이래 중국 공회는 노동자 권리대변조직으로서의 역할을 해 야 한다는 대중의 압력에 놓여 있다. 공회 조직과 중국공산당은 공산당 영향 아래 관리가능한 국가-노동관계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반 해 북한의 직업동맹은 큰 변화 없이 조선노동당의 동원조직, 사상교양단 체로서의 역할에 매몰되어 있다. 직업동맹의 변화 가능성은 없는 것인가. 있다면 그 동인은 무엇인가. 시장화가 확산되는 조건, 평균주의에 대한 비판과 물질적 유인요인의 강화, 경제경영관리 정책 등 환경 변화는 직 업동맹 변화의 가능성을 높인다. 그러나 비일관적인 개혁노선, 수령 중심 의 경직된 정치체제, 노동자 대중 저항의 미약함, 국제노동권 규범을 받 아들이게 하는 관여 및 압박 수단의 부재는 직업동맹 변화를 어렵게 한 다.
The future prospects of trade unions in China(the ACFTU) and North Korea(the GFTUK) are influenced by the state-labor relation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in each country. In the context of reform and opening up, the ACFTU is under public pressure to act as an organization representing workers. Both the ACFTU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the CCP) are seeking changes that will maintain the CCP's influence. The GFTUK, on the other hand,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and stuck in its role as a mobilization organizatio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Is there a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GFTUK? The spread of marketization, the critique of averageness and the intensification of material incentives, changes in economic management policies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 GFTUK change. However, inconsistent reform lines, the rigid political system centered on leader, the absence of resistance from the working class, the involvement of international labor rights norms and the lack of means of pressure make change in the GFTUK diffic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