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확장-구축이론에 따른 사회복지사 일-삶 균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Work-Life Balance on Burnout Based on the Broaden and Build The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Fredrickson의 확장-구축이론(Broaden and Build Theory) 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사의 일-삶 균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 고자 실시하였다. 지역복지관 38개 기관의 사회복지사 306명을 연구대상 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회복지사 특성을 1수준, 기관 특성을 2수준 으로 산정한 다층분석을 활용하였다. 다층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사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소진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이 좋을수록 소진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일-삶 균형이 좋을수록 소진이 낮게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소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과 일-삶 균형을 위한 정책 및 실천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Fredrickson의 확장-구축이론(Broaden and Build Theory)을 기반으로 일-삶 균형과 소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음에 의의가 있 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workers' work-life balance on burnout based on Fredrickson's Broaden and Build Theory. The research targeted 306 social workers from 38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multi-level analysis, with social worker characteristics as level 1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s level 2.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analysis, controlling for worker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irst, burnout decreased as the age of social workers increased. Second, better subjective health was associated with lower burnout. Third, better work-life bala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social workers' work-life balance and prevent burnou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burnout based on Fredrickson's Broaden and Build Theory.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1. 사회복지사의 소진
    2. 확장구축이론과 일삶균형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절차
IV. 분석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연구대상 기관의 일반적 특성
    3.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정규성 검토
    4. 모델1: 기초모형 (Null Model)
    5. 소진 영향 요인 다층분석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저자
  • 김요섭(광주보건대학교) | Kim Yoseb (Kwangju Health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