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성형 AI 기반 Roh-KAI 코칭 시스템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 존재감, 신뢰,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n Human Interaction with a Generative AI-Based Roh-KAI Coaching System - Social Presence, Trust, and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Chat GPT 기반으로 개발한 실험자용 생성형 AI 코칭 시스템 ‘Roh-KAI(로카이)’가 인간 사용자 간 상호작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존재 감, 신뢰,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로카이는 국제코칭연 맹(ICF)과 한국코치협회(KCA)의 윤리규정 및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8단계 47개 질문 구조로 설계되었다. 인공지능 사용경험이 있는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주제 분석 기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상위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사회적 존재감 에서는 60%가 대화의 자연스러움을, 80%가 공감적 반응을 경험했고, 인공지능 신뢰에서는 53.3%가 공감적 경청과 이해를, 40%가 비판단적 태도를 인식했다. 자기효능감에서는 66.7%가 자기 인식 확장을, 46.7%가 실행 의지 강화를 나타 냈다. 반면 53.3%가 구조화된 프로세스의 제약을 지적했고, 33.3%가 사용자 다 양성 대응 부족을, 26.7%가 윤리적 우려를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 AI 코칭 시스 템이 공감적 상호작용과 자기성찰 촉진에는 효과적이나, 시스템의 유연성과 개 별화된 접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I 코칭 시스템의 설계와 개선 방향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s psychological changes in social presence, trust, and self-efficacy during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Roh-KAI,’ a ChatGPT-based generative AI coaching system. Roh-KAI was designed with an 8-step, 47-question structure reflecting ICF and KCA guidelines. A qualitative study using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5 adults experienced with AI. Four superordinate themes and nine subordinate themes emerged. Results showed 80% experienced empathetic responses, 66.7% reported expanded self-awareness, and 60% found conversations natural. However, 53.3% noted constraints from structured processes, 33.3% identified insufficient user diversity responsiveness, and 26.7% expressed ethical concerns. The findings confirm that AI coaching systems effectively facilitate empathetic interactions and self-reflection, but require enhanced flexibility and individualized approach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AI coaching system design and improvement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인간- AI 상호작용
    2. 사회적 존재감의 다차원적 구조
    3. 신뢰 형성의 심리적 메커니즘
    4. 자기효능감과 AI 코칭의 역할
    5. 통합적 이론 프레임워크와 연구의 차별점
Ⅲ. 연구방법
    1. Roh-KAI(로카이) 시스템 구성 및 특성
    2. 연구설계
    3. 연구절차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주제분석 결과
    2. 사회적 존재감
    3. 인공지능 신뢰
    4. 자기효능감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노진화(중부대학교 학생교양성장학부 조교수) | Roh Jinhwa (Assistant Professor. Dept, of Liberal Arts and Human Development,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