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 작업치료 중재의 효과성과 구체적인 중재 적용 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무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 RISS, Embase, Pubmed,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4년 1월부터 2024년 9월까지 게재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을 위한 키워드는 “Virtual Reality” AND (“Stroke” OR “Cerebrovascular Disorders” OR “Brain vascular disease” OR “Cerebrovascular Accident” OR “Brain Vascular Accident” OR “Cerebrovascular Stroke”) AND (“Occupational therapy” or “Occupational therapist”)와 “뇌졸중” AND “가상현실” AND “작업치료”를 사용하였다. 결과 : 최종 선정된 11편의 문헌 중 대상자는 주로 만성기 뇌졸중 환자였으며, 중재 시간은 평균 30분, 중재 기간은 6~8주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신체 기능 영역의 평가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중재 효과는 11편의 문헌 중 1편의 문헌을 제외한 문헌에서 상지기능,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중재 설계와 평가도구 활용에 대한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는 향후 작업치료사가 가상현실 중재 프로그램 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VR)-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troke and explore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to provide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Method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RISS, Embase, PubMed,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to identify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September 2024. The search strategy included keywords such as “Virtual Reality” AND (“Stroke” OR “Cerebrovascular Disorders” OR “Cerebrovascular Accident” OR “Brain Vascular Accident” OR “Cerebrovascular Stroke”) AND (“Occupational therapy” OR “Occupational therapist”), along with their Korean equivalents, including “뇌졸중,” “가상현실,” and “작업치료.” Results: Eleven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most involved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e interventions were typically delivered in 30-min sessions over 6–8 weeks. Physical function assessment tools were predominantly employed. Of the included studies, 10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pper limb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VR-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significantly enhanced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patients. This study offers evidence-based insights into intervention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tools, providing valuable guidanc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R-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및 문헌 검색
    2.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
    3. 문헌 선정과정
    4. 문헌의 질 평가
    5. 자료 분석 및 근거 제시 방법
Ⅲ. 연구결과
    1. 분석 대상 문헌 도출
    2. 분석 대상 문헌의 질 평가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VR 중재 도구
    5. VR 중재 시간 및 기간
    6. 중재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7. 중재효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홍진이(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Hong Jin-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Course)
  • 박수범(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Park SueBeo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Course)
  • 김아람(상지대학교 보건의료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Kim Ah-Ra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 Medical Services, Sangji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 김종배(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Kim Jongb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