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论《布鲁克林》电影改编的类型化策略 KCI 등재

A Study on the Typological Strategies in the Film Adaptation of Brooklyn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영화 《브루클린》은 문학 텍스트에서 영화 매체로의 서사적 전환 과정 에서 감독 존 크로울리는 원작 소설에 내재된 세 가지 핵심 서사 자원을 정교하게 포착하고 재구성하였다. 즉 주체적 정체성 상실과 재구축, 현대 여성 의식의 각성, 개인 성장의 서사적 동력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 로 서사를 재편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영화는 원작의 섬세하고 서 정적인 미학적 표현을 수용함과 동시에, 장르적 문법에 입각한 서사적 재맥락화를 수행하였다. 특히 여성서사라는 텍스트적 프레임안에서 영화 는 기존 문학 서사의 감성적 요소를 시각적 내러티브로 효과적으로 전이 시키며 문학에서 영화로의 매체간 전환의 성공적 사례로 자리매김하였 다.

During the narrative conversion process of the film "Brooklyn" from literature to film, director John Crowley deeply grasped and extracted three narrative resources in the original work: the loss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identity, the awakening of modern women's consciousness and the inspiration of individual growth Narrative, on this basis, the film also absorbs the delicate and tender artistic techniques of the original literary works, and carries out film-type narrative packaging and reshaping, and structures it in the text framework of "female writing", so that the film can realize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literature to video.

목차
논문요약
I. 序言
II. 文化冲突背景下主体身份的迷失与重建
III. 女性意识:作为独立生命个体的完型之路
IV. 成长叙事:通俗叙事套路的丰盈拓展
V. 结语
<参考文献>

저자
  • 陈默(中国 西北大学) | Chen Mo (Northwest University)
  • 안병삼(삼육대학교) | An Byung Sam (Sahmyoo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