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교정공무원의 소명의식의 생성과정과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를 한 개인의 시간, 교정시설이라는 공간,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는 Clandinin 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3차원 측면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결과는 요약하면 교정공무원으로서의 직업소명의식의 생성과 발달의 개념으로 서 그 시작과 끝은 인간에 대한 믿음과 애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정공무원의 소명의식에 대한 논의를 했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교정 정책 적 차원에서의 구체적 제안을 했다.
본 논문은 중년의 위기에서 자아정체성의 혼란으로 갈등을 겪는 중년여성들의 문제를 불교가 지향하는 깨달음이 곧 ‘자아 성장’ 또는 ‘자아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여 불교의 지혜를 빌려 그 해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아정체성을 불교의 불성(佛性)과 같은 개념으로, 불성을 인간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향’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고 불교상담의 시각에서 고향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나서 염불로써 마음의 고향에 돌아갈 것을 노래하는 「염불환향곡」을 중심으로 중년여성들의 정체성 찾기를 위한 불교상담의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기성쾌선의 「염불환향곡」은 가향(家鄕), 실향(失鄕), 실로(失路), 문향(問鄕), 취향(趣鄕), 환향(還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에는 다시 여러 개의 항목들을 중심으로 법문이 이어진다. 선(禪)을 기반으로 화엄과 정토사상을 결합한 내용으로 시적 리듬을 가미하여 문학적 감동을 주는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이 「염불환향곡」은 중생들의 마음이 미혹에 빠져 길을 잃은 후 다시 본원의 마음을 회복하는 과정을 고향을 찾아가는 길에 비유하고 있다. 가향에서 환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수행자가 자신의 본성인 불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자아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사람이 자신의 정체성인 고향을 찾는 과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귀향의 과정을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을 찾는 불교상담의 과정으로 적용해 보았다. 깨달음, 해탈, 열반 등의 출세간적인 가치를 보다 더 많이 강조하는 불교의 관점에서 볼 때 불교상담은 정신치료와 심리치료 분야에서도 기여할 수 있겠지만 보통의 사람들이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이 되도록 돕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상담의 기본 역할을 생각한다면 불교상담 역시 불교의 가치를 넘어서 더 많은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셀프 뷰티족 여성의 가치의식에 따른 개인용 뷰티디바이스 구매행동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342명의 설문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상자의 개인용 뷰티디바이스의 가치의식, 구매행동, 재구매의도 정도에서 가치의식은 물질주의 적이, 구매행동은 경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구매의도는 전체 M=3.73, SD=0.80로 나타났다. 가치의식, 구매행동, 재구매의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변수들마다의 정(+)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p<0.01). 셀프 뷰티족 여성의 가치의식이 개인용 뷰티디바이스의 구매행동(심미성, 동조성, 효과성)에는 심미추구적이, 구매행동의 경제성에는 물질주의적이, 구매행동의 신뢰성에는 자아존중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셀프 뷰티족 여성의 가치의식의 자아존중적 요인이 개인용 뷰티디바이스의 재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셀프 뷰티족 여성의 가치의식은 소비자의 개인용 뷰티디바이스의 구매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뷰티디바이스 시장에 중요한 마케팅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ho Nam-min 2012. A Study on The Emergence of Terms for Female Body, and Changes in Perspectives - with focus on female words such as pregnancy, delivery, and womb.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425-446. This research studies emergence and changes of female words, especially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womb, through analysis of medical books and female literature in Chosun dynasty and modern enlightenment era. It studies how females recognized their bodies and gender differently from Chosun dynasty’s patriarchal system to rapidly changing modern enlightenment period. Birth (and delivery) is one of the indispensable steps of human life, and the whole process of pregnancy and delivery is closely related to pregnant mother. Through pregnancy and delivery, infants and mothers attain new social status,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As a consequence, while related literatures such as medical book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were focused on being pregnant and delivering infant, those published in modern era paid more attention to pregnant mothers’ body and health. It was thanks to the import of western medicine and enhanced scientific understanding of pregnancy and delivery. More frequent mention about female health and body were found in modern female and family literature, and it was found that perspective on and understanding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infant care were changed. It was the results of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females given that perception on bodies are developed and defined in social and cultural ways.
We conducted a survey on Japanese women's consciousness of food culture and their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by self filling-out questionnaire during January, 2000 for the period of a month, For the survey we selected 250 women residing in Kyoto, Japan. For the statistic work we used SAS package system, and t-test,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also used to verify the results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survey lies in gathering a basic data on the comparative direction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food culture in the future 1. Comparing the preferred food purchase place, In case of Korean women, traditional market was comparatively more preferred while Japanese women relatively preferred convenience store (p〈0.001). 2. In case of Japanese women, they answere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ordinary days on New Year's Day (71%) and Christmas (40%) while 38% answered they prepare food at home. 40% said they prepare food on parents-in-law's birthday, and 41% said no difference from ordinary days. 52% said they prepare food at home on husband's birthday. For their own birthday, 32% said yes to preparing food at home while 45% said no difference and 22.3% said eating out. For children's birthday 65% said preparing at home, 16.3% said no difference and 14.9% said eating out. 3. Comparing the conception on traditional food, Korean women answered 'complicated' (77%) most while 'simple' (5%) least, which indicates their demands for simplified recipes. In case of Japanese women, 'complicated' (44%) was most while 'scientific' (6%) was least which indicates their demands for scientific way of recipes. There were differences shown by age (p〈0.001) and the older the more said 'simple' or 'logical' (p〈0.01). 4. As the reason for the complicity of traditional food recipes, Koreans said 'too many hand skill' (60%) most while 'too many spices' (8%) least. For Japanese, 'various kind of the recipe' (55%) was most while 'too many hand skill' (7%) was lea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by academic background (p〈0.01) and income(p〈0.01), and the lower the academic background, the more said 'too many spices' as the reason for the complicity in making traditional food. Generally, the lesser the income, the more tendency to say 'various kinds of the recipe'. 5. In case of Koreans, 'the recipe is difficult' (56%) was high while 'uninterested' (9%) was low in answer which showed differences by academic background (p〈0.05), and in case of Japanese, 'no time to cook' (44%) was high while 'uninterested' (7%) was low. 6. The following is the reasons for choosing traditional food as a snack for children. In case of Koreans, they answered as 'traditional food' (34%), 'made from nutrious and quality materials' (27%), 'for education' (22%) and 'suites their taste' (17%) revealing 'traditional food' is highest. In case of Japanese, it was revealed in the order of 'made from nutrious and quality materials' (36.3%), 'traditional food' (25.2%), 'suites their taste' (22.6%), 'for education' (12.8%) and 7. Comparing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food in the world, Koreans answered 'taste and nutrition' (45%) most while 'shape and color' (6%) least. In case of Japanese, 'taste and nutrition' (75%) was answered most while 'hygienic packaging' (4%) was least. Both considered 'taste and nutrition' as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food in the world. 8. In case of Koreans, they answered they learn how to make traditional food 'from mother' (47%), 'media' (18%), 'school' (15%), 'from mother-in-law' (14%), 'private cooking school' (4%) and 'close acquaintances' (2%). In case of Japanese, they said mostly learn 'from mother', but it was also shown that the lower the academic background the lesser the tendency of learning 'from mother' but 'from school' (p〈0.001). 9. About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 Koreans said they..
스크랜튼은 기숙제 학교인 이화 학당과 보구여관이라는 여성 전용 병원 그리고 공옥여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여자매일학교를 세우고 여성교회와 부인성경학교를 세워 여성을 교육하고 여성지도력을 개발했다. 이것은 여 성교육 활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개화기의 한국 여성들에게 ‘여성의 공간’ 의 창출이었고, ‘여성 주의’ 의식의 개발이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가 설립 한 이 나라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이었던 이화 학당은 스크랜튼이 뿌린 ‘여성주의’ 의식이 싹을 틔우고 태동하는 중요한 묘판이 되었다. 이화학당 이라는 기독교적 여성 고등 교육 시설 안에서 개화기 한국 여성들은 사물 을 규정하고 명명하며 자신과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여성주의 의식’에 각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자기의식을 현실화하여 당당한 사 회적 전문인으로서 혹은 민족 독립 운동가라는 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해 가 게 되었다. 이화라는 공간 안에서 여성들은 무지로부터 해방되었고 가정이 라는 공간에서 해방되었고, 아내, 딸, 어머니라는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해 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여성을 자신의 삶과 역사의 주체로 세우고 사회적 존재로 확장해 가는 의식해방을 이루었던 것이다. 개화기 이화학당에서 태동된 ‘여성주의’ 의식이 가부장제적 성적 위계질서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개화기의 ‘여성주 의’ 의식은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이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저변을 이룬 우리 나라 ‘초기 여성주의’로서의 의의가 크다. 그러한 의미에서 스크랜튼은 이 나라 여성 교육의 개척자임과 동시에 ‘여 성주의’ 의식의 개척자이자 여성 운동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