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men’s Education Activity of Mary Scranton and the Earliest Beginning of Korean ‘Feminist Perspective’ in the Modern Period
스크랜튼은 기숙제 학교인 이화 학당과 보구여관이라는 여성 전용 병원 그리고 공옥여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여자매일학교를 세우고 여성교회와 부인성경학교를 세워 여성을 교육하고 여성지도력을 개발했다. 이것은 여 성교육 활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개화기의 한국 여성들에게 ‘여성의 공간’ 의 창출이었고, ‘여성 주의’ 의식의 개발이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가 설립 한 이 나라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이었던 이화 학당은 스크랜튼이 뿌린 ‘여성주의’ 의식이 싹을 틔우고 태동하는 중요한 묘판이 되었다. 이화학당 이라는 기독교적 여성 고등 교육 시설 안에서 개화기 한국 여성들은 사물 을 규정하고 명명하며 자신과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여성주의 의식’에 각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자기의식을 현실화하여 당당한 사 회적 전문인으로서 혹은 민족 독립 운동가라는 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해 가 게 되었다. 이화라는 공간 안에서 여성들은 무지로부터 해방되었고 가정이 라는 공간에서 해방되었고, 아내, 딸, 어머니라는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해 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여성을 자신의 삶과 역사의 주체로 세우고 사회적 존재로 확장해 가는 의식해방을 이루었던 것이다. 개화기 이화학당에서 태동된 ‘여성주의’ 의식이 가부장제적 성적 위계질서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개화기의 ‘여성주 의’ 의식은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이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저변을 이룬 우리 나라 ‘초기 여성주의’로서의 의의가 크다. 그러한 의미에서 스크랜튼은 이 나라 여성 교육의 개척자임과 동시에 ‘여 성주의’ 의식의 개척자이자 여성 운동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ary F. Scranton was the founder of Ewha Haktang, a residential school,
PoKuNyoKwan, a women’s only hospital, Gongok Girls’ School and many
other day schools for women. She also founded a training school for Bible
Women in order to educate and develop the leadership skills of Korean women.
What she did was not only for women's activities, but also for the creation
of “space for women” and the development of a “feminist” perspective for
Korean women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Ewha Haktang was the firs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women in Korea,
especially, because it became a crucial nursery for the “feminist” perspective
to grow. Defining things and designating them, Korean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awakened by the “feminist” perspective taught at
which Ewah Haktang, a place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for women, which
made them to be able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 world they lived in. These
women became professionally confident members of the community by
actualizing their new self-consciousness. They began to stand on their ownpolitically as independent activists. In the “space” called Ewha, Korean women
were emancipated from ignorance and restrictive traditions relating to the family
roles of wives, daughters and mothers. Most of all, women became aware
that they were subjects of history and life itself which freed them to be more
a part of society at large.
Even though the “feminist” perspective that was begun at Ewha Haktang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showed its limits on failing deconstruction of
patriarchal authority, the fact that the "feminist" perspective in this era formed
the “feminist” libertarian or socialistic “feminist” perspective wa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early feminism of Korea. In that sense, Scranton is regarded
as being on the forefront of the “feminist” perspective and women's movemen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