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blical Foundation of Immigrant Hospitality and its Institutional Implications
한국에 체류하는 이주민은 약 26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 이상을 차지한다. 이주민에 대한 용어는 정부 부처마다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사회학에서 이해하는 개념과 성경에서의 개념이 다르다. 이주민에 대한 개념은 이주민을 이해하는 인식과 그들을 대하는 태도와 이주민 정책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줄 것이며 선교적인 관점에서도 이주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은 선교전략과 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제2장에서 이주민의 개념을 일반 사회학적 관점과 성경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사회학에서 이주를 자유 이주와 강제이주로 구별하고, 성경에 나오는 게르(ger), 토샤브(toshab) 등의 용어를 통해 이주민을 환대의 대상으로 본다. 제3장에서는 이주민의 개념을 통해 이주민에 대한 환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제4장에서는 통계자료를 근거로 근로·주거 환경 개선, 사업장 이동 절차 완화, 결혼이민자의 권리보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주민에 대한 이해가 신학 교과과정과 목회 현장에서의 교육을 통해 선행되어야 하며, 교회가 거시적인 관점에서 사회적인 제도의 개선에 노력을 기울일 때 이주민들이 환대를 경험하고, 결국 신앙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Approximately 2.69 million migrants live in South Korea, accounting for over 5% of the population. The terminology for ‘migrant’ varies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across sociological and biblical views vary. These concepts shape how migrants are understood, treated, and how policies are formed. For missions, changing perceptions is key to strategy. Chapter 2 compares sociological (free vs. forced migration) and biblical views, which emphasize hospitality (ger, toshab). Chapter 3 stresses hospitality, and Chapter 4 highlights the need to improve conditions and protect marriage migrants. Migrant awareness should be included in theological education to help churches promote inclusion and systemic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