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팀 기반 시뮬레이션실습에서 다면평가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Multisource Evaluation in Team-Based Simulation Pract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5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실습에서 교수평가,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점수를 확인하 며, 평가주체별로 점수를 어떻게 주는 경향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인간호학실습(4)’를 수강한 간호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35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제출한 동료평가지와 자기평가지의 점수와 교수자 점수를 통계 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주체별 점수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평가 순이었고, 자기평가에서 음의 왜도가 크고 첨도가 높아 스스로에게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음과 집중된 평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수평가는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 된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주체별 점수간 관계는 동료평가와 교수평가간에 정 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팀 활동에서의 다면평가는 단일 평가자가 평가할 때 발 생하는 평가자 오류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지만, 단순히 평가자의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신뢰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실습에서 다면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ores of instructo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in team-based simulation practice and to analyze the scoring tendencies of each evaluator, as well as to identify their inter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peer and self-evaluation scores submitted by students, along with instructor evaluation score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35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he “Adult Nursing Practice(4)” cour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were highest in self-evaluation, followed by peer 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The self-evaluation scores exhibited a high degree of negative skewness and kurtosis, indicating a tendency for students to assign higher scores to themselves and a pattern of score concentration. In contrast, the instructor evaluation scores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evaluator, particularly between peer and instructor evaluations. In conclusion, multisource evaluation in team-based activities is relatively free from the evaluator error that occurs when a single evaluator evaluates, but it should not be blindly trusted because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evaluators does 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more detailed criteria for multisource evaluation in team-based simulation practice and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ch evalua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2 연구도구
    2.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평가주체간 점수와 평가주체간의 관대화와 집중화 경향
    3.3 평가주체별 평가점수간의 상관관계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수진(Associated Professor, Nursing Dept., Cheju Halla Univ., 38 Halladaehak-ro, Jeju-si, Jeju, Korea) | Kim Soo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