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대학 CTL에서 운영하는 대표적인 교수지원 프로그램인 교수법 특강과 수업컨설팅 참여 여부에 따라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대학에서 2022년 1년 동안 운영한 교수법 특강과 수업컨 설팅에 참여한 교수들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파악하고, 총 2,062개 교과의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수법 특강에 참여한 교 수는 59.1%였으며,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수는 15.9%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법 특강 참여교수의 강의평가 점수는 미참여 교 수의 강의평가 점수보다 높았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수업컨설팅에 참여 여부에 따른 강의평가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교수법 특강, 수업컨설팅과 같은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한 것과 교수법 특강 참여가 강의평가 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학에서의 교수법 특강과 수업컨설팅 설계, 운영과 평가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tudents’ and examiner’s assessment scores of students’ simulated performance. Methods: For two years, 46 teams of 183 seni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simulated emergency. The examiner assessed the students’ reactions during simulation using the 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NCSS). Th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erformance using the same scale after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paired t-test, a one-way ANOVA, a Kruskal-Wallis test, an independent t-test, and a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students’ NCS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xaminer. The difference of students’ self-rated and examiner’ scores was larger in the lower third group of actual NCSS scores as compared to the difference for those in the upper third group. The students’ self-assessment accuracy improved after exposure to the NCSS, but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can be suggest various strategies to promote more realistic self-appraisals among students.
목적 : 국내 작업치료(학)과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교육품질인증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들의 세계작업치료사연맹(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FOT) 인증 확 대 및 국내 실정에 맞는 교육품질인증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2016년 1월 20일부터 4월 25일까지 메일을 통해 국내 작업치료(학)과에 소속된 모든 교수들 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총 103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미비한 8부를 제외하고 총 9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95명의 응답자 중 80명(84.2%)이 WFOT 인증평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국내 자체의 교육품질인증에 대해서도 73명(76.8%)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국내 자체의 작업치료 교육품질인증이 실시될 경우 응답자의 75.8%인 72명이 평가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영역에서도 교육의 질을 확보하고 교육수요자에게 교육에 대한 신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잣대의 교육품질평가가 필요하다. 합리적인 평가기준의 확립과 적용을 통하여 국내 모든 대학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신입 작업치료사의 직무수행 능력을 신뢰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evaluation in the simulation-based maternity nursing.
Methods: The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taken by 112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30 item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evaluation tool has been developed for instructor. And 30 item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scale(self reported form) was used for students.
Result: The critical items of the simulation-based maternity nursing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Mean score for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are as follows: student's evaluation 4.0(on a 5-point scale), instructor's evaluation 76.7(on a total 90-poi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evaluation score.
Conclusion: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guideline in development direction of qualitative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on washback of a test has little been carried out in Korea while it has been flourishing in language testing researchers oversea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advent of NEAT has affected the perception of test takers and the teaching/learning practices in English classrooms of Korea. In addition, we also w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uch as perception of test users, teaching/learning practices, and test scores.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601 students who were seated at NEAT administered in April 2013 as well as 3,267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n NEAT. The analyses revealed some evidence to support that NEAT has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analyses also revealed that NEAT was not effective to appeal for a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본고가 갖는 기본적 문제의식은 ‘한자․한문교육을 통하여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가?’라는 것이다. 한국에서 한문교육은 보수적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인데, 사실 부 인할 수 없는 내적․외적 요인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한문교육은 종래의 보 수성을 탈피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과 다각적인 시도를 한 결과 새로운 전기 를 맞고 있다. 최근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이론적, 실체적 방안을 강구한 한국한문교육학회 의 학술대회가 대표적 사례다. 필자는 중고등학교 한문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 을 실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의 하나로 공익광고의 활용을 제안한 바 있다. 공익 광고는 범국민성․비편파성․비정치성․공익성․합리성․휴머니즘․비영리성․윤 리성․비차별성을 속성으로 하며, 사회의 문제점을 바로잡고 올바른 윤리의식과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는 점에서 세상을 바꾸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공익광고의 기능이 한문교육과 결합된다면, 한문교육도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것이다. 한자문화권의 대표적 국가인 중국과 한국의 공익광고를 분석해 보면 한자를 활 용한 것이 상당수 있다. 중국의 공익광고는 한자의 자형을 활용한 것이 대부분이 다. 또 간화자와 본자의 자형에 착안한 공익광고도 상당수 있다. 한국의 경우는 한자의 자형을 이용한 공익광고, 한자의 조어력을 활용한 공익광 고, 한자문화권 특유의 문화와 한자를 결합한 공익광고 등 중국보다 다양한 양상 을 보인다. 공익광고의 주제는 국지적 문제보다 세계가 공통적으로 당면한 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금연․환경보호 캠페인이 대표적이다. 중국과 한국의 금연 캠페인 광고는 한자를 이미지화하여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자 문화권에서 한자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한국에서는 최근 간행된 한문교과서에 한자를 활용한 공익광고를 수록하고 있 다. 그것은 자형을 활용한 공익광고, 한자의 조어력을 활용한 공익광고로 대별된 다. 다만, 광고 카피의 수사법에 집중한 나머지 한자의 본질을 망각하거나 훼손한 사례를 무비판적으로 수록한 것도 산견된다. 평가의 경우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대학수학능력평가 시험에 활용된 공익 광고를 검토해 보았다. 그것은 한자 표기를 묻는 유형, 주제를 묻는 유형, 내용과 관련 있는 한문 문장을 묻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평가에 활용된 공익광고의 유형 이 교과서에 활용된 공익광고의 유형보다 단순한 것은 평가문항으로 개발할 때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한자가 사용된 공익광고를 한문학습에 활용하면,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자의 현 재적 가치를 깨닫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공익광고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자연스 럽게 각인시키는 효과를 겸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한자의 보수적 속성이 탈각되고 한문 교육을 통하여 세상을 바꾸는 동력을 얻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개선의 개념과 강의평가의 기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오늘날 교수개선은 대학교육의 질과 관련ㄴ한 중요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강의 평가는 대학 수업의 질적 개선에 작용하는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를 매개로 한 대학 내 교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해 교수개선의 개념과 강의평가의 기능 그리고 Lindquist, Siegel과 Nelsen, Matney, Collie등의 교수개선의 이론적인 모형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의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교수역량에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바탕으로 교수역량 요인들을 추출해 델파이 설문지를 만들어 전국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수업컨설팅을 업무를 맡고 있는 실무자 20명의 응답으로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선정된 25개 문항을 놓고 3차 조사는 전문가들의 심층토의를 거쳐 최종 교수역량 평가지표 24개 문항을 선정하였고 각 문항이 속할 대영역의 명칭과 문항 분류를 결정하였다. 수업설계와 준비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이 문항에서 제외되었고, 실제 수업활동에 속하는 문항이 다수가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가 실천적 교육역량에 속하는 것임을 고려한다면, 수업컨설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고시대 이후로 스승에 대한 평가를 한다는 것을 생각하지도, 행동에 옮기지도 못 할 일이였다. 스승의 그림자 조차도 예의를 갖추 어 대하던 것이 우리의 전통이자 교육이였다. 하지만 1995년 이후 교원에 대한 평가의 제도가 만들어 졌고, 현재 학생들에 의한 과목 평가가 이 루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선박에서 역시 선장이란 불문의 권력을 가지고 있는 직책으로 그 능력이나 지휘방법에 대한 평가 방법은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선박이 고속화되고, 바쁜 스케줄 속에서 운항하게 되면서 선내 분위기 조성 뿐만아니라 선박의 효율적인 운항에 있어서 선장의 위치는 점점 커져가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이에 현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 평가제와 선장 평가제를 비교 연구 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web-based model for English teacher evaluation, which purports to encourage a teacher to get actively involved in his or he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upon teaching. The evaluation model using portfolio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acher should play a key role in the evaluation process in order to bring about change in teaching. Another theoretical premise of the model is that data on teaching should be gather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observation, student performance and self-appraisal. The web-based model encourages stakeholders, e.g., administrators, headteachers, parents, to take part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 model reflects the findings of a questionnaire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evaluation and their needs. It is suggested that a number of factors related to administration, technology and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odel. Some suggestions are also made concerning evaluator training, time constraints, institutional support, and further research.
Lecture Evaluation system is an only way, so far, to evaluate the quality of lectures in our university and yet has several problems. This system does not have any effects on professors; however, it is rather used to threaten assistant professors and/or part-time/full-time lecturers. As a result, students are still dissatisfied with the unchanging lectures of professors. Generally speaking, We should consider new ideas to introduce a head teacher system or improve the lecture evaluation system to open doors wider for teachers, professors do their best to expand students' understanding by practicing the Lecture Evaluation System. In fact, it is hard to keep the objectiveness that the professors estimate the quality of professors. That is why this check list should be restricted only as a guideline among the system. After all, it is expected to bring better educational circumstances when the system functions properly to provide professors to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