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푸드아트테라피가 자살생각 노인의 의식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KCI 등재후보

The Effect of Food Art Therapy on the Consciousness of Suicidal Elderly: A Single Cas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5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푸드아트테라피를 적용하여 의식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본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노인의 자살 행동은 예방이 중 요하기 때문에 푸트아트테라피를 통해서 의식 증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노인들의 의식을 성장시켜 자살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에서 연구 기간은 2025년 3월 17일 ~ 2025년 6월 10일까지 총 21회기 를 본 연구실에서 주 2회 회기별 50분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70대 노인 여성 이다. 측정도구는 우울척도(BDI), 대인관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회기별 내용을 사례 분석인 정성적 분석을 하였고 척도지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t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자는 불안정감과 우울감이 아주 높았으며 무기력한 상태였다. 대인관계가 없었으며 언제나 자살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였다. 푸드아트테라피 후에 참여자의 행동 변화는 비합리 적 신념에서 벗어나 합리적 신념으로 바뀌면서 이웃에 대한 관심이 함께 차를 마시게 되는 행위로 바뀌었다. 자녀와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얼굴에 화색이 돌았다. 오래간만 에 자녀와 전화 대화 끝에 방문의사를 밝혔다고 하였다. 초기 침울하고 무망하며 우울한 정서를 보이다가 작품 활동을 통하여 창조의 세계를 만들어 즐거움과 내적․외적 동기 유발 을 촉진시켜 자발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언어로 표현하기도 하는 요인이 참여자의 치료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by applying food art therapy to elderly people contemplating suicid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hat it is important to prevent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food art therapy to improve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elderly people contemplating suicide and help them relieve from suicide.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rch 17, 2025 to June 10, 2025, a total of 21 sessions were conducted in this laboratory twice a week for 50 minutes each s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lderly women in their 70s.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Behavioral Indicator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data analysis wa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ach session, and a pre- and post-test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ca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had very high levels of instability and depression and were in a state of helplessness. She had n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as always preoccupied with suicidal thoughts. After food therapy, the participant's behavior changed from irrational beliefs to rational beliefs, and interest in neighbors changed to drinking tea together. Her face brightened as she talked about her children and family. She said that she wanted to visit her child after a long time on the phon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that initially showed gloomy, hopeless, and depressing emotions but promoted joy and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by creating a creative world through art activities and spontaneously expressed her inner self in words influenced the participant's treatment.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참여자
    2.2 연구 설계
    2.3 측정 도구
    2.4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사례 결과
    3.2 푸드 아트 테라피 상담에 대한 정량적 결과
3. 결론
References
저자
  • 양동희(center director, Korea Forest Interpreter Association 158 Baumoi-ro, Secho-gu, Seoul, Korea) | Yang Donghee Corresponding author
  • 정미숙(Professor, 13631 Ayurveda Institute, 826 B, 164 Tancheonsang-ro,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Korea) | Cheong Mee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