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푸드아트테라피를 적용하여 의식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본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노인의 자살 행동은 예방이 중 요하기 때문에 푸트아트테라피를 통해서 의식 증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노인들의 의식을 성장시켜 자살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에서 연구 기간은 2025년 3월 17일 ~ 2025년 6월 10일까지 총 21회기 를 본 연구실에서 주 2회 회기별 50분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70대 노인 여성 이다. 측정도구는 우울척도(BDI), 대인관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회기별 내용을 사례 분석인 정성적 분석을 하였고 척도지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t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자는 불안정감과 우울감이 아주 높았으며 무기력한 상태였다. 대인관계가 없었으며 언제나 자살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였다. 푸드아트테라피 후에 참여자의 행동 변화는 비합리 적 신념에서 벗어나 합리적 신념으로 바뀌면서 이웃에 대한 관심이 함께 차를 마시게 되는 행위로 바뀌었다. 자녀와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얼굴에 화색이 돌았다. 오래간만 에 자녀와 전화 대화 끝에 방문의사를 밝혔다고 하였다. 초기 침울하고 무망하며 우울한 정서를 보이다가 작품 활동을 통하여 창조의 세계를 만들어 즐거움과 내적․외적 동기 유발 을 촉진시켜 자발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언어로 표현하기도 하는 요인이 참여자의 치료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철학적인 관점에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육적인 함의들을 발견하려는 데에 있다. 이정연에 의해 개발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동양적인 사고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는 우주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함께 더불어 사는 대긍정의 세계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푸드아트테라피는 전일적인 치유을 추구한다. 둘째, 푸드아트테라피는 통합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셋째, 푸드아트테라피는 사회구성주의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이와 같은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내담자와 상담자는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회복과 치유를 향해 나아갈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