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유르베다 컬러양초 테라피가 독고노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후보

The Effects of Ayurvedic Color Candle Therapy on the Psychology of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a Single Ca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5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 삣따 체질을 가진 독고노인을 대상으로 컬러 양초 테라피와 심리 상담을 병행하여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단일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작되었으며, IRB 승인을 받았고 2025년 6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 는 J군에 거주하는 남성(73세)이며, 삣따 체질이다. 참여자는 무좀, 피부질환을 가지고 있었 고,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높았다. 상담 장소는 연구 참여자의 집에서 이루어졌으며, 기간은 2025년 3월 5일부터 5월 31일까지 주 1회, 12회기를 하였다. 연구는 회기마다 20분 상담, 20분 컬러 양초 총 40분간 실시하였다. 컬러 양초 테라피와 싱잉볼, 상담을 활용하여 삣따 체질의 불균형으로 나타난 증상들의 균형을 위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는 치매로 인한 집중력이 완화되었고, 피부 질환과 무좀이 개선되면서 자존감과 자신감이 회복되었다. 중재 과정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행동 변화는 표정이 밝 아졌고, 자기주장이 잘 되었다. 결론적으로 컬러 양초 테라피와 상담의 지속적 활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여자는 집중력 향상,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 정서적 안 정, 피부질환 완화, 자존감 향상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는 아유르베다 체질에 기반한 맞춤형 컬러 테라피의 효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단일 사례 연구의 한계로 인해 향후 다수의 사례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candle therap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an elderly person with Ayurvedic Pitta constitution. This study started on January 1, 2024, received IRB approval, and was conducted until June 25, 2025. The study participant was a male (73 years old) living in J-gun and had Pittah constitution. The participant had athlete's foot and skin disease, and ha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stress. The counseling was conducted at the participant's home, once a week for 12 sessions from March 5 to May 31, 2025.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 minutes, including 20 minutes of counseling and 20 minutes of color candles per session. Color candle therapy, singing bowls, and counseling were used to balance the symptoms that appeared due to the imbalance of Pittah constit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concentration due to dementia was alleviated, and their self-esteem and confidence were restored as their skin disease and athlete's foot improved. They experienced positive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through the intervention process. Behavioral changes included brighter facial expressions and better self-assertion. In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continuous use of color candle therapy and counseling can be effectiv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such as improved concentration, reduced depression and stress, emotional stability, alleviated skin disease, and improved self-esteem.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color therapy based on Ayurvedic constitutio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a single case study, follow-up studies including multiple cases are needed in the futur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참여자
    2.2 연구 설계
    2.2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참여자의 기본 정보
    3.2 삣따 체질 남성의 사례 개념화
    3.3 참여자의 행동변화
    3.4 참여자의 회기별 상담 요약
    3.5 참여자의 상담 이전과 이후의 변화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상림(Ph.D. course, 27838 1105 103-dong, 36 Munhwa 2-gil, Jincheon-eup, Jincheon-gun, Chungcheongbuk-do) | Lee Sanglim
  • 정미숙(Professor, 13631 Korea Ayurveda Institution 164 Tancheonsang-ro, Bundang-gu, Serongnam-si, Gyeonggi-do, Korea) | Cheong Meesoo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