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다 요가(Nāda yoga) 관점으로 본 현대 소리명상의 통합적 이해 KCI 등재후보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Modern Sound Meditation from a Nada Yoga Perspecti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나다 요가(Nāda yoga) 관점으로 본 현대 소리명상의 통합적 이해로 문헌연구 이다. 고전 나다 요가의 ‘내면 청취(anāhata nāda)’수행 모델을 현대 소리 명상에 적용하여, 현대 소리 명상이 몸과 마음의 치유를 넘어서 고전 나다 요가의 의식(영성) 확장 및 회복까 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관점으로 나아갈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고전 나다 요가는 내면의 소리 청취(anāhata nāda)를 통해 의식 확장을 추구하는 수행 체 계이며, 현대 소리 명상은 진동과 주파수를 활용한 심신 치유에 중점을 둔다. 본 논문은 나 다 요가의 내면 소리 청취 모델을 기반으로 현대 소리 명상의 과학적 기제와의 구조적 통 합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를 통해 소리 수행이 치유를 넘어 영적 성장과 의식 변용의 도구 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소리의 끝에서 마주하는 침묵'이라는 수행 개념은 현대 소리 명 상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하는 본 연구의 독창적 시각이다. 본 논문은 나다 요가의 수행체계를 현대 소리 명상의 관점에서 통합함으로써 치유와 의식 확장을 아우르는 통합 모델 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다만 이론적 논의를 넘어 실제 임상 적용 및 다양한 소리 수행 기법의 요가적 확장을 위한 실증적 연구가 향후 과제로 제시된다.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aimed at providing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modern sound medi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āda yog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lassical Nada Yoga model of ‘inner listening (anāhata nāda)’ to modern sound meditation, and to present a model that can enable modern sound meditation to move beyond the healing of body and mind to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expansion and recovery of consciousness (spirituality) of classical Nada Yoga. Classical Nāda Yoga is a system of practice that seeks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inner sound perception (anāhata nāda), whereas modern sound meditation focuses on mind-body healing using vibration and frequency. This paper proposes the structural necessity of integrating the inner sound listening model of Nāda Yoga with the scientific mechanisms of modern sound meditation. It argues that sound-based practice can serve not only as a healing modality but also as a means of spiritual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e concept of "encountering silence at the end of sound" reflects the original perspective of this study, which suggests a paradigm shift in modern sound medi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integrative model encompassing both healing and consciousness expansion by connecting the practice system of Nāda Yoga with the perspective of modern sound meditation. However,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empirical studies for clinical application and the expansion of various sound-based techniques from the viewpoint of yogic practic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나다 요가(Nāda Yoga) 전통의 수행 구조와 철학
    2.1 Nāda의 의미와 형이상학적 배경
    2.2 고전 문헌 속의 나다 요가
    2.3 수행 구조 : 네 단계의 소리
    2.4 아나하타 나다(Anāhata Nāda)와 내면 청취
    2.4 나다 요가의 수행
3. 현대 소리명상의 이론적 기반과 적용
    3.1 파동의학과 양자의학
    3.2 뇌파(brainwaves)
    3.3 짜끄라(Cakra)
4. 현대 소리명상의 나다 요가적 계승과 확장
    4.1 침묵을 듣다.
    4.1 기대 효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거룡(Professor, 01133. Yoga and Meditation, Seoul Cyber Univ. 60, Solmae-ro, Ga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 Lee Geolyong
  • 유미형(Ph.D. course, 30152. Yoomihyung Healing Yoga Institute, 202ho. 2270. Hannnuri-daero, Sejong-si, Republic of Korea.) | Yoo Mihy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