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후변화에 대응한 ‘후지’ 사과 과원의 지리적 위치별 과실특성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Fruit Characteristics by Geographical Location of ‘Fuji’ Apple Orchard under Climate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경상북도(경북; 안동시, 청송군, 영주시, 의성군), 경상남도(경남; 밀양시), 전북도(전북; 장수군), 경기도(경기; 파주시), 강원도(강원; 정선군) 등 한국의 8개 주요 사과 생산지에서 기후변화가 ‘후지' 사과의 수확시기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과 과수원은 경북지역은 위도 36도, 경남과 전북지역은 35도, 경기와 강원지역은 37도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사과의 착색기인 10월 최저 기온은 청송 5℃, 장수 6.4℃, 정선 5.7℃로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지리적 차이와 관계없이 과실의 수확시기에는 약 10일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수확시 과실의 경도는 경북과 경남지역 과실은 56.6-64.1 N으로 다소 낮았던 반면, 전북, 경기, 강원지역은 67.8-72.2 N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역 간 산 함량 및 내생 에틸렌 발생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과피의 적색도 또한 청송 25.8, 정선 27.5, 파주 26.2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여 재배지 간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8개 지역의 과실을 수확후 180일간 저온저장하였을 때 안동, 밀양, 파주지역의 과실 경도는 59.4-64.5 N으로 높게 유지되었고, IEC는 87.0-112.5 μL·L-1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였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RCP 4.5와 8.5 시나리오에서 기온 상승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국 사과재배 지역에서 ‘후지’ 사과의 과실품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arvest timing and fruit quality of 'Fuji' apples across eight major apple-production regions in Korea, including Gyeongsangbuk-do (GB; Andong, Cheongsong, Yeongju, Uiseong), Gyeongsangnam-do (GN; Miryang), Jeonbuk-do (JB; Jangsu), Gyeonggi-do (GG; Paju), and Gangwon-do (GW; Jeongseon). The apple orchards were located at latitudes of 36°for GB, 35°for GN and JB, and 37°for GG and GW. In October, the minimum temperatures dropped to 5℃ in Cheongsong, 6.4℃ in Jangsu, and 5.7℃ in Jeongseon. Regardless of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the harvest timing differed approximately 10 days across the regions. At harvest, fruit firmness was slightly lower in GB and GN regions ranging from 56.6 to 64.1 N, whereas apples from the JB, GG, and GW regions showed higher firmness levels, ranging from 67.8 to 72.2 N. Titratable acidity (TA) and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IE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The a* value, an indicator of red skin coloration, was also relatively low in Cheongsong (25.8), Jeongseon (27.5), and Paju (26.2). showing no distinct differences among growing regions. After 180 days of cold storage, apples from Andong, Miryang, and Paju maintained higher fruit frimness (59.4-64.5 N) and exhibited relatively low IEC ranging from 87.0 to 112.5 μL·L-1. TA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duration, whereas soluble solids content remained unchanged. Therefore, despite concerns about rising temperatures under the RCP 4.5 and 8.5 scenario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uit quality of 'Fuji' apples have been observed to date across apple-growing regions of Korea.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저장조건
    2. 기상분석
    3. 과실품질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사과재배지의 지리적 특성 및 기후변화
    2. 수확시 과실 특성
    3. 수확후 저온저장에 따른 과실 특성 변화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권중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 전문연구원) | Jung-Geun Kwon (Post-doctoral Researcher, Apple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Gunwi-gun, Daegu 43100, Korea)
  • 나이묘윈(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 전문연구원) | Nay Myo Win (Post-doctoral Researcher, Apple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Gunwi-gun, Daegu 43100, Korea)
  • 유진기(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교수) | Jingi Yoo (Professor,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 김경욱(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대학원생) | Kyungook Ki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한아름(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대학원생) | Areum Han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정희영(경북대학교 식물의학과 교수) | Hee-Young Jung (Professor,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이승열(경북대학교 식물의학과 교수) | Seung-Yeol Lee (Professor,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김선애(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 농업연구사) | Seonae Kim (Agriculture Researcher, Apple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Gunwi-gun, Daegu 43100, Korea)
  • 강인규(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교수) | In-Kyu Kang (Professor,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