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yberspace and Simulacra: Exploring Hyperreality, Identity, and the Postmodern Condition in William Gibson’s Neuromancer KCI 등재

사이버스페이스와 시뮬라크라: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에서 하이퍼리얼리티, 정체성, 포스트모던 조건 탐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논문은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에서 시뮬라크라, 사이버스페이스, 하이퍼리얼리티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이 소설을 포스트모던 조건을 집약한 기념비 적 텍스트로 위치시킨다. 장 보드리야르,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프레드릭 제임슨 등의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깁슨이 현실과 시뮬레이션의 경계가 무의미해진 허구적 우주 를 어떻게 구축하는지를 살핀다. 􋺷뉴로맨서􋺸에서 사이버스페이스 매트릭스는 단순한 서사 배경을 넘어서, 기호가 현실을 앞서고 대체하는 상징적 영역으로 기능하며 보드 리야르의 하이퍼리얼 개념을 구현한다. 주인공 케이스가 가상 네트워크를 무형으로 탐 색하는 모습은 정체성 위기를 반영하며, 첨단 기술 환경에서 안정된 자아가 붕괴하는 양상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이 데이터 과잉, 미디어 융합, 대서사의 붕괴로 특징지어지는 포스트모던성의 감각적·심리적 분위기를 포착하고 있음을 주장하며, 이 를 통해 현대 디지털 문화를 이해하는 분석적 틀을 제공한다. 정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뉴로맨서􋺸가 사이버펑크 미학에 기여한 바와 미디어 이론, 포스트모 던 철학, 기술문화 연구에서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play of simulacra, cyberspace, and hyperreality in William Gibson’s Neuromancer, placing the novel as a seminal text that encapsulates the postmodern condition. Holding on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Jean Baudrillard, Jean-François Lyotard, and Fredric Jameson, the study examines how Gibson constructs a fictional universe where reality is indistinguishable from simulation. The cyberspace matrix in Neuromancer functions not merely as a narrative setting but as a symbolic domain where signs precede and replace the real, illustrating Baudrillard’s concept of the hyperreal. The protagonist Case’s incorporeal navigation through virtual networks reflects a crisis of identity, highlighting the sinking stable selfhood in the technologically advanced environmen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novel captures the sensory and psychological ambiance of postmodernity—characterized by data saturation, media convergence, and the collapse of grand narratives—offering an analytical lens through which we understand contemporary digital culture. Through close textual analysis, the research underscores the novel’s contribution to cyberpunk aesthetics and its relevance to ongoing discourses in media theory, postmodern philosophy, and technocultural studies.

목차
Abstract
우리말 요약
1. Introduction
2. Simulacra and Hyperreality
3. Signs, Images, and the Loss of Reality
4. The Fragmented Self and the Postmodern Subject
5. Shattered Selves: Postmodern Subjectivity
6. Dispersed Identity in Postmodern Culture
7. Capitalism, Control, and the Commodification of Reality
8. Reality for Sale: The Simulated World
9. Technology, Simulation, and the Collapse of Reality
10. The Hyperreal Condition
11. Techno-Realities and Postmodernism
12. Navigating the Postmodern Matrix
13. Conclusion
Works cited
Manuscript peer-review process
저자
  • M. Mohamed Khaled(Research Scholar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Jamal Mohamed College (Autonomous) affiliated to Bharathidasan University, Tiruchirapalli - 620020, Tamil Nadu, India & Assistant Professor of English, Khadir Mohideen College affiliated to Bharathidasan University, Adirampattinam - 614701, Tamil Nadu, India) | M. 모하메드 칼레드 (인도 타밀나두 티루치라팔리 바라티다산 대학교 소속 자 말 모하메드 칼리지 영어과 박사과정 연구원, 바라티다산 대학교 소속 카디 르 모히딘 칼리지 영어과 조교수)
  • K. Mohamed Umar Farooq(Research Advisor &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Jamal Mohamed College (Autonomous) affiliated to Bharathidasan University, Tiruchirapalli - 620020, Tamil Nadu, India) | K. 모하메드 우마르 파룩 (자말 모하메드 칼리지 영어과 연구 지도 교수이자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