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밀리 디킨슨의 숭고와 그로테스크 KCI 등재

The Sublime and Grotesque in Emily Dickins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에밀리 디킨슨은 숭고의 관념을 탈창조하면서 이전에 확립된 규칙의 한 계를 넘어 숭고가 지닌 본질에 다가가려 한다. 그녀가 그려낸 숭고의 순간은 초월을 추구하면서도 불안과 두려움을 생산하고 몰형식과 이질성, 무한함의 양가적 감정을 담 고 있다. 디킨슨은 우리가 위력적이고 공포심을 일으키는 대상을 마주할 때 느끼는 순 간을 숭고로 표현하면서 자아분열, 주저함, 이질적인 결합, 광기 등과 같은 그로테스크 의 특성을 결합시킨다. 그녀는 숭고를 대상에 대한 완전한 인식이 아닌 인지적 고양과 초월을 기대하면서도 그 경계에서 주저함과 다가섬을 반복하며 숭고와 그로테스크의 겹쳐진 상태로 연출하는 독특함을 보여준다. 디킨슨이 숭고에서 드러내는 이러한 이중 적 경험은 어떤 것도 최종적으로 고정되거나 완전할 수 없으며, 초월은 하되 그 초월 이 영혼의 고양으로 직결될 수 없다는 역설적인 인식의 표현이다. 디킨슨이 제시하는 숭고는 인식의 중심점과 가장자리 사이에서의 진동과 교차를 직시함이자 삶과 죽음, 영원과 초월, 신비와 발견의 문턱에서 그로테스크성이 더해진 넘어서기와 되돌아가기 의 반복이며, 숭고가 “마음의 최종 목적지”가 아닌 “불완전한 것”이 남도록 내버려두 면서 자신만의 숭고를 만들어 낸다.

Emily Dickinson redefines the sublime by breaking from established conventions to approach its essence. Her sublime seeks transcendence yet generates anxiety, fear, formlessness, heterogeneity, and infinity. Encounters with powerful, fear-inducing objects are intertwined with grotesque traits such as self-division, hesitation, incongruous juxtapositions, and madness. Rather than emerging from complete knowledge, her sublime arises from heightened perception, oscillating between approach and withdrawal. This movement blends the sublime and grotesque, exposing the instability of ultimate meaning and the paradox that transcendence does not guarantee spiritual elevation. Positioned at the threshold of life and death, eternity and transcendence, mystery and discovery, Dickinson’s sublime incorporates grotesque intensities that resist resolution. It is neither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mind” nor a fixed endpoint, but an unfinished form that embraces imperfection and recasts transcendence as an ongoing, cyclical movement rather than a definitive conclusion.

목차
우리말 요약
Abstract
I
II
III
IV
V
Notes
Works cited
Manuscript peer-review process
저자
  • 서지윤(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강사) | Jiyun Seo (lecturer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Ha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