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예이츠와 디킨슨의 집을 프로이트의 언캐니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프로이트는 어떤 사건이나 개인의 심리적 경험인 언캐니의 개념을 단순히 신비한 것이 아니라 기묘하고 친숙하게 느껴지는 방식으로 구체화한다. 예이츠와 디킨슨에서 익숙한 집은 불안하고 섬뜩한 맥락에서 자주 마주쳐져 자아에 환원될 수 없는 불안감을 낳는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예이츠가 『연옥』에서 현실의 불안과 혼란, 절망의 상징으로서 집을 노인이 표상하는 방식, 그리고 디킨슨이 여성의 역할이 강요되고 억압되는 공간으로 제시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그녀의 시에서 집을 매개로 자신의 과거를 은폐하고 억누르는 상황은 분열된 자아, 낯선 또 다른 나를 마주치게 한다. 예이츠와 디킨슨에게 언캐니 집은 억압되어 실현되지 못한 자아의 파편들이 잠복하여 출몰하고 의식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공간이다.
예이츠는 혼란스럽던 당대 아일랜드의 현실에서 영웅적 기상을 지닌 엘리트적 인물의 역할에 주목한다. 니체의 초인사상, 창조적 예술정신과 새로운 가치관, 삶에 대한 관점 등은 예이츠의 시세계에 더 넓은 지평을 열어주었다. 니체에 영향을 받은 예이츠의 귀족주의는 귀족주의적 삶의 양식을 실천함으로써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물질적 인 속박에서 벗어나 내면의 자율성을 키워나가게 한다. 그의 귀족주의를 재산과 혈통으로 결정되는 위계질서가 아닌 개개인의 내면을 고양할 수 있는 하나의 가치체계로 이해할 때 더 나은 인간의 자유와 다양성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그것은 하나의 인위적인 예술적 이상향으로 마련된 것이 아니라 현실적 삶 속에 귀족주의적 삶의 영역을 마련하여 예술과 학문의 가치를 공동체의 구성원 모두가 나누어 갖자는 의도를 지닌다.
디킨슨과 예이츠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죽음에 대한 그들의 고민과 사색을 시에 담고 있다. 디킨슨은 죽음을 낯선 존재의 갑작스러운 마주침처럼 묘사하며 그 순간을 관찰한다. 예이츠는 죽음을 두려워하기도 하지만 초월적인 인간을 제시하거나 영혼의 불멸과 환생을 죽음과 관련짓기도 한다. 두 시인은 죽음을 사색하며 삶에 미치는 영행을 모색한다. 죽음에 대한 두 시인의 고민은 레비나스의 죽음의 타자성과 연결할 수 있다. 죽음은 자아가 경험한 적 없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변화하는 순간으로서 죽음에 대하여 자아가 그 어떤 영향력도 가지지 못하는 수동성으로의 전환이다. 디 킨슨과 예이츠는 죽음과 마주한 인간의 무력함과 신비함을 시에서 표현한다. 두 시인은 간접적으로 사유할 수밖에 없는 죽음의 한계를 비유와 상징으로 표현하면서 죽음의 절대적 타자성을 시에 담는다.
이 논문은 디킨슨과 예이츠의 신에 대한 관점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동시대인들이 기존 종교에서 제시하는 신을 아무런 의심 없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였던 반면에 두 시인은 기독교 교리와 제도에 회의하고 저항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자아로 신과 인간, 세계에 대한 시각을 가진다. 디킨슨은 신에 대한 태도와 신의 이름하에 자행되는 폭력 및 고통을 가볍게 여기지 않았고 자아와 교회, 그리고 신앙에 대해 끊임없이 회의하며 신을 향하여 저항과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다. 예이츠는 기독교 정신과 교리를 그만의 신비적이고 불가해한 관점에서 해석한다. 기독교라는 이유로 현실에서 당연시되고 나아가 평범함으로까지 여겨지는 종교의 형식과 제도에 대한 반발이다. 디킨슨과 예이츠는 신앙의 이름으로 헌신된 기독교 종교의 방법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또한 그들은 주관적 인식을 통해 하나님과 자아 사이의 관계를 깊이 사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