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연구 KCI 등재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Adolesc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인식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중·고등학생 80 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의 문 화다양성 인식과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다문화 경험 등을 조사하였 다. 자료는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K-means), 분산분석(ANO VA)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행동적 실천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요 영향 요인은 한 국어 능력(β=0.275), 또래 지지(β=0.213), 교사 관계(β=0.174), 부모 태도 (β=0.132)였으며, 외국인 친구 유무와 다문화 교육 경험도 유의미했다. 군집분석에서는 ‘포용성 고성장형’, ‘수용 감소형’, ‘보통형’ 세 유형이 도 출되었고, 세 집단 간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η²=0.1 5~0.25).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증진을 위한 맞춤형 교육 과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다문화 사회 공존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adolescent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wareness typ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to assess multicultural awareness acros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along wi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ocial support,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K-means cluster analysis, and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generally demonstrated positive multicultural awareness, although behavioral practice was relatively lower. Key predictors include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β=0.275), peer support (β=0.213), teacher relationships (β=0.174), and parental attitudes (β=0.132). Having foreign friend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types: “Inclusive High-Growth,” “Acceptance-Decline,” and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all domains among the three groups (η²=0.15–0.25).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enhance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adolescents and serves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ostering social inclusion in multicultural societi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사회적 중요성
    2.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과 문화다양성 인식
    3. 문화다양성 인식 관련 이론
    4. 이론에 기반한 변수 정의 및 관계 구조
Ⅲ.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표집 방법
    2.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 자료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영향 요인 분석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
Ⅴ. 결론 및 논의
    1. 학술적 시사점
    2. 실무적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
  • 김정열(총신대학교) | Jeong-yeol Kim (Chongshin University)
  • 윤승비(서울기독대학교) | Seung-bi Yo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