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rrors in Immigrants' Use of Korean Sentence-Final E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으로 이주한 이주민의 종결어미 사용에서 오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 치에서 이주민의 말뭉치를 선별하였고, 이후 종결어미 사용 및 오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오류 층위에서는 형태 오류가 1급부터 6급까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의 서술어에 위치해 있는 종결어미가 대부분 용언이라는 것을 고려해 보면, 이주민들은 고급 숙달도에 도달하 여도 용언 활용을 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류 양상 분석 결과, 대치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주민들이 특정 몇몇 의 종결어미로 한정시켜서 종결어미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 서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이주민에게 다양한 종결어미의 기능과 의미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rror patterns in the utilization of sentence-final endings by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To achieve this, a corpus of immigrant speech was extracted from the Korean learner corpus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 detailed analysis of the usage and errors associated with sentence-final endings was conduc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rphological errors were prevalent across all proficiency levels, from beginner (Level 1) to advanced (Level 6). Given that sentence-final endings in Korean predominantly function as predic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igrants encounter persistent challenges in mastering verb conjugation, even at higher proficiency levels. Further analysis of error patterns indicated a significant prevalence of substitution errors, implying that immigrants tend to restrict their use of sentence-final endings to a limited subset. Consequently,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targeted pedagogical interven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emphasizing the systematic instruction of the diverse functions and meanings of sentence-final endings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language acqui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