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 딸기의 주요 해충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는 짧은 생활 주기와 살비제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로 인해 약제에 대한 저항 성이 빠르게 발달된다. 이에 따라 점박이응애의 지속적인 방제를 위해 트랩식물과 같은 새로운 해충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0종의 콩과식물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기주 적합성 및 선호도를 실내검정하여 트랩식물을 선발하였다. 기주 적합성 실험 결과, 병아리콩을 제외한 팥, 서리 태, 서목태, 누에콩, 강낭콩, 녹두, 완두콩, 땅콩, 작두콩에서 대조구(아크릴판)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박이응애의 유인 및 산란이 확인되었다. 기주식 물 9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강낭콩, 서리태, 팥 순으로 점박이응애의 유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선발된 강낭콩, 서리태, 팥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선호도가 암조건에서도 확인되었으며, 특히 강낭콩은 딸기보다 점박이응애의 유인력 및 산란이 3배 높게 나타났다. 최종 선발된 강낭 콩에서, 점박이응애는 초장 150 mm 강낭콩 모종보다 300 mm 강낭콩 모종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강낭콩 모종이 점박이 응애의 트랩식물로써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is a major pest of greenhouse strawberry. T. urticae rapidly develops resistance to acaricides due to its short life cycle and continuous exposure to these chemicals. Therefore, new pes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trap plants, are needed for sustainable control of T. urtica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host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T. urticae for ten leguminous plant species to select trap plants in the laboratory. As a result, nine leguminous plant species as adzuki bean, black soybean, brown soybean, fava bean, kidney bean, mung bean, pea, peanut, and sword bean, except chickpea, were highly accepted by T. urticae compared to the control (acrylic board) in two-choice tests. Among the nine plant species, kidney bean, black soybean, and adzuki bean showed higher preference by T. urticae than the other plant species in multiple-choice tests. These three selected plants also showed preference under dark conditions, and particularly kidney bean was 3 times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T. urticae and inducing oviposition than strawberry. Additionally, kidney bean seedlings with a height of 300 mm showed a higher preference of T. urticae than those with a height of 150 m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idney bean seedlings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trap plants for T. urtic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