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목(槐木)으로 지칭되고 있는 회화나무와 느티나무의 노거목 생육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회화나 무와 느티나무의 잔존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문화변용(文化變容)의 근거를 추론할 수 있는 자료 축적을 도모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5년 5월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느티 나무와 회화나무는 20건(4.1%): 6건(1.2%)이다. 보호수 지정 비율은 52.2% : 2.6%로 느티나무 의 비율이 회화나무에 비해 월등히 높은데 그 요인으로는 노거수로서의 성장 가능성, 환경 적응성, 수급 가능성 등으로 추정된다. 둘째, 보호수로 지정된 7,258개체의 느티나무는 전남에 2,131개체 (29.4%)로 가장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으며 충남(16.5%), 경북(1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화나무 보호수 367개체 중 경북과 대구에 총 202개체(55.0%)가 월등히 높게 생존하고 있는 바 특히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로까지 일컬어지는 경북 안동지역에는 16그루의 회화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어 이채롭다. 셋째, 보호수 회화나무와 느티나무의 평균 수령과 수고 비교 결과 거의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흉고 둘레는 436.6㎝ : 352.8㎝로 느티나무의 부피생장이 월등하였다. 따라서 느티나무가 회화나무에 비해 부피 생장력(生長力)은 큰 것으로 확인되었 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해 볼 때 전반적으로 느티나무는 회화나무에 비해 거목으로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 노목으로 장수한다는 설명은 성립되지 않았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imed to understand the remaining status of Zelkova serrata and Sophora japonica by identifying the growing status of old trees referred to as goemok(槐木), and to accumulate data that can infer the basis for cultural trans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as of May 2025, Zelkova serrata and Sophora japonica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20 cases(4.1%) : 6 cases(1.2%). The designation ratio of protected trees is 52.2% : 2.6%, with the ratio of Zelkova serrata being much higher than that of Zelkova serrata. The factors are presumed to be growth potential as old trees,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supply demand potential. Second, of the 7,258 Zelkova serrata designated as protected trees, the largest number, 2,131(29.4%), is growing in Jeollanam-do, followed by Chungcheongnam-do(16.5%) and Gyeongsangbuk-do(14.4%). Meanwhile, out of the 367 protected Sophora japonica, a whopping 202 trees(55.0%) are surviving in Gyeongbuk and Daegu, which is an exceptionally high number. In particular, 16 Sophora japonica have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trees in Andong, Gyeongbuk, which is called the capital of Korean spiritual culture, which is unique. Third, the average age and height of the protected Zelkova serrata and Sophora japonica were almost equal, but the average breast height circumference was 436.6cm : 352.8cm, showing that the Zelkova serrata had a much higher volume growth rat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Zelkova serrata had a greater volume growth rate than the Sophora japonica.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in general, the Zelkova serrata has a higher potential to grow into a large tree than the Sophora japonica but the explanation that the Zelkova serrata lives a long time as an old tree has not been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