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육 통합 맥락에서 본 영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에 관한 문헌연구 KCI 등재후보

A Literature Study on the Professionality and Job Continuity of Infant Teachers in the Context of Childcare and Education Integ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육 통합이라는 제도적 전환기 속에서 영유 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유아교사는 영유아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 으로, 최근 제도 변화와 사회적 요구의 확대 속에서 직무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연구를 수집·분석하였다. 문헌은 영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다룬 연구와 보육·교육 통합 관련 연구를 포함하였으며, 비학술적 자료는 제외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영유아교사”, “보육·교육 통합”, “전문성”, “직무 지속성”, “이직의도”, “professionalism”, “job retention”, “ECEC integ ration” 등이었으며, 수집된 문헌은 전문성, 직무 지속성, 제도 변화의 세 범주로 분류·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육 통합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과 직무 만족을 강화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 무 지속성은 조직문화·동료 협력 등 조직적 자원과 부모와의 소통 등 관계적 자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셋째, 제도 변화는 영유아교사들에게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제공하는 양면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결론 을 지지하면서도, 일부 연구에서 강조된 개인적 노력만으로는 직 무 지속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상반된 논의도 함께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육 통합 맥락에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였으며, 제도 변화 과정 에서 영유아교사의 정체성과 직무 환경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함 을 시사한다. 다만 문헌연구라는 한계를 지니므로, 향후 연구에서 는 실증적 자료를 활용한 양적·질적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fessionalism and job re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childcare and educ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in children’s development, yet they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work environment due to recent policy reforms and expanding social deman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cholarly work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focusing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job retention, and issues related to childcare–education integration. Major search terms included “early childhood teacher,” “childcare–education integration,” “professionalism,” “job retention,” “turnover intention,” and “ECEC integr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ree main results. First, childcareeducation integration has positively influenced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Second, job retention is shaped by organizational resources, such as institutional culture and collegial collaboration, as well as relational resources, includ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ird, institutional reforms present both opportunities and uncertainties, reflecting a dual nature of heightened expectations and increased anx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job retention within the integration of childcare and education, underscoring the need to balanc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ith their evolving work environments. However, as this study is based solely on a literature review,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empirical approaches-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to validate and extend these findings.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의의
2. Theoretical Background
    2.1 보육·교육 통합의 개념과 의의
    2.2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념
    2.3 직무 지속성의 개념과 중요성
    2.4 보육·교육 통합과 전문성·직무 지속성의 연계성
3.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4. Research Method
    4.1 연구 설계
    4.2 문헌 수집 절차
    4.3 분석 방법
5. Research Findings
    5.1 보육·교육 통합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5.2 직무 지속성과 조직·관계 요인의 상관성
    5.3 제도 변화에 대한 기대와 불안
6. Discussion
7.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김민영(Clerk of the Haein Welfare Foundation, 111-5, Eonyang-ro, Eonyang-eup, Ulju-gun, Ulsan, Republic of Korea) | Minyo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