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에서 비전으로: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 에 나타난 촉각적 시각성과 일상의 성스러움
본 논문은 먼저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 에서 화자가 로버트를 결핍의 인 물로 규정하고, 시각장애를 연민하거나 교정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이른바 ‘의학 적 모델’의 관점을 통해 그를 바라보는 서술 전략을 세밀히 분석할 것이다. 뿐 만 아니라, 메를로-퐁티의 지각 현상학과 로라 U. 마크스의 ‘촉각적 시각성’ 이 론을 참조하여, 작품이 시각의 절대적 우위를 흔들고 인식을 몸짓·근접성·신체 적 접촉에 뿌리를 둔 다감각적 과정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고찰할 것이다. 나 아가, 본 논문은 이 작품이 이러한 체화되고 관계적인 ‘보기’의 방식을 통해 어 떻게 일상의 차원을 넘어 성스러움의 체험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 보이는지, 즉 평범한 삶의 순간들 속에서도 신성함이 드러날 수 있음을 어떤 미학적·윤리 적 방식으로 제시하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begin by examining how the narrator in Raymond Carver’s “Cathedral” initially portrays Robert through the lens of the “medical model” of disability. I will then turn to Maurice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nd Laura U. Marks’s theory of haptic visuality to analyze how the narrative disrupts the supremacy of vision, reframing perception as a deeply embodied, multisensory process rooted in gesture, proximity, and shared touch. Finally, I will argue that this embodied, relational mode of seeing opens a path beyond the confines of ordinary experience toward an encounter with the sacred, revealing that traces of the sacred can emerge even within the fabric of everyda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