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Neck discomfort and movement limitations are common musculoskeletal problems among modern people. While cervical and thoracic joint mobilization are widely used interventions for cervical dysfunction, research comparing their immediate effectiveness in adults with asymmetrical cervical rotation is limited. Objectives: To compare the immediate effects of cervical versus thoracic joint mobilization in adults with adults with asymmetrical cervical rotation and discomfort.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 adults with left-right differences in cervical rotation of more than 5 degree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ervical mobilization group (CMG, n=15) or thoracic mobilization group (TMG, n=15). Both groups received Grade III mobilization for 15 minutes. Range of motion (ROM), pain (VAS),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ROM after intervention (P<.001). Within-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TMG showed significant pain reduction (P<.01)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left-right rotation asymmetry (P<.001), while the CMG showed improvement in ROM but no significant changes in asymmetry or pain (P>.05). Neither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NDI. Between-group comparis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utcome measures. Conclusion: Both cervical and thoracic joint mobilization increased cervical range of motion in adults with asymmetrical cervical rotation discomfort. The TMG demonstrated significant within-group improvements in left-right rotation asymmetry and pain reduction, suggesting potential clinical benefits of thoracic mobilization for certain aspects of cervical dysfunction.
        4,0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애의 본질은 손상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의 부적절한 대응에서 비롯 된다고 보아야 한다.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헌법』이 보장하는 인간 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국가는 이를 보장할 의무가 있다. 그런데『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 제1항 [별표1]은 위 법의 적 용을 받는 장애의 종류를 15가지로 나열하였다. 여기에 들어있지 않은 투렛 증후군 진단을 받은 사람의 장애인등록 신청이 거부 된 데 대하여 대상판결 은『장애인복지법』이나 위 법 시행령의 체제와 취지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위 조항을 한정적 열거가 아닌 예시적 열거로 보고, 나아가 적극적으로 인용 처분이 내려져야 한다는 전제에서 거부처분의 위법성을 논하면서 유추의 방 법까지 동원하였다. 장애의 종류가 아니라 장애의 경중에 따라 국가의 보호대 상에의 해당 여부를 정하는 것이 『헌법』이 정한 평등의 이념에 부합하며, 법 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법적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체적 타당성 을 찾아야 하므로, 보다 적극적인 실효성 있는 구제책을 낸 대상판결은 장애 인복지의 지평을 넓히는 의미 있는 판결이다. 다만, 대상판결 후에도 개정된 시행령이나 보건복지부 고시 등을 통하여 새로운 유형의 장애 인정이 거의 제한되고 있는바, 하루빨리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3.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 정책종합계획을 사회권의 관점으로 분석하 여 향후 장애인의 소득수준 개선을 위한 장애인 정책 방향성을 제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제4차~제6차 장애인 정책종합 계획이다. 사회권 관점을 에스핑 앤더슨(Esping–Andersen)이 제시한 ‘탈상품화’로 정하고, 탈상품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애인 소득 보장 정책’의 ‘소득보장 비중’, ‘소득보장과 고용 연계’, ‘소득보장 정도’를 분석 틀로 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경제자립의 정책 분야에서 소득보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고용지원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소득보장과 고용지원의 연계가 강조되고 있다. 셋째, 장애인 소득보장의 주요 제도인 장애인 연금은 대상 포괄성이 낮고 급여액도 작 아서 전반적인 장애인 소득보장 정도는 낮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 라 장애인 정책종합계획의 소득보장정책은 탈상품화 정도가 낮아 사회권 실현 정도가 미흡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권 관점을 고려한 장애인 소득보장 정책의 필요성, 장애인 연금 등 장애인 소득보장 수준 확대,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지원 연계에 대한 실효성 있 는 정책 마련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6,400원
        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are being used to treat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ntervention using manual therapy and kinesiotaping together.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on the mobilization with kinesiotaping. Design: A quasi-experimental clinical trial. Method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llocated twenty-nine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to the mobilization with kinesiotaping group (MKG, n=15) and the kinesiotaping group (KG, n=14). The intervention of MKG and KG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outcome was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range of motion (RO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by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MKG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ADI pain, SPADI disability,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in MKG. However In KG,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SPADI pain, SPADI disability,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And in MK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PADI pain, SPADI disability and increase i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Conclusion: The mobilization with kinesiotap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pain, disability, and ROM in patien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4,000원
        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 비의무 기업 고용주의 장애인식과 사회적 책임 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효과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1 장애인 고용기업체 고용실태조사를 근거로 장애인 고용 비의무 기업 고용주로 50인 미만 기업 고용주 359명을 대 상으로 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과 jamovi 2.5.22로 하 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 고용 비의무 기업 고용주의 장애인식이 사 회적 책임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효 과가 사회적 책임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인 고용 비의 무 기업 고용주의 장애인식과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인식개 선 교육 효과가 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중 심으로 장애인 고용 비의무 기업 고용주의 장애인식 증진과 사회적 책임 을 높이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6,400원
        6.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자립이 사회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 삶 패널조사 3차(2020)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장애수용, 자 립이 사회참여 항목을 분석하였다. 장애인 5,529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참여 도 차이를 알기 위해 T-test, One-way ANOVA와 사후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과 사회참여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 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은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에 대 한 인식과 극복이 높다는 것으로, 사회참여와 장애수용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립은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 생활에서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사회참여와 자립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장애 인의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은 사회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은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위 하여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고 제도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참여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7.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forward head posture acts as a factor that can cause various neur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dysfunctions. But searching for a study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 with forward head posture was challeng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ranio-vertebral angle (CVA), neck disability index (NDI), pain, and sternocleidomastoid (SCM) thickness of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and to figure ou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Design: Cress-sectional study. Methods: To measure the CVA, the angle at which the visible protrusion of C7 and the ear bead were connected was measured, and the neck disorder index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NDI. The degree of pain of the subject was measured using a visual-analog scale (VAS). The SCM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an ultrasound imaging device, and the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WHOQL-BREF). Results: A significant predictive model showing 88% explanatory power for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nfirmed, with an appropriate regression equation being found. The factor that most affected patients' quality of life in the forward head posture was confirmed by the SCM thickness. Conclusion: When applying an intervention to improve a patient's quality of life for patient with forward head posture, an intervention method that improves the SCM thickness should be recommended.
        4,0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s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ension-type headache (TTH) focus on direct intervention in areas associated with headaches, with limited research exploring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ventions utilizing the fascia.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erficial back line (SBL) stretching and head-neck massage interventions on the range of motion (ROM)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of TTH.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SBL stretching group (n=9), head-neck massage group (n=9), and combined group (n=9). Prior to the intervention, measurements were taken for neck flexion ROM, straight leg raising test (SLRT) ROM, and NDI.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30-minute session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The second measurement took place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followed by a third measurement conducted after an additional 4 weeks of intervention. Results: Comparing neck flexion ROM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SBL stretching group after 8 weeks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P<.05). Regarding the comparison of SLRT ROM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was noted after 8 weeks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SBL stretching, head-neck massage, and combined groups (P<.05). In terms of the comparison of NDI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all three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8-week intervention involving SBL stretching, head-neck massage, and their combined application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improving neck flexion ROM, SLRT ROM, and the NDI for individuals with TTH.
        4,000원
        9.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솟대 평론』은 2015년에 폐간된 『솟대 평론』의 뒤를 이어 2017년에 창간된 장애인 문학 저널이다. 따라서 ‘솟대 문학’이라는 장애인 문학의 기풍을 계승하 고 있다. 그러나 『솟대 평론』은 더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양식과 장애인 주요 담론을 논의의 장으로 삼고 있다. 『솟대 평론』에 실린 총 6편의 구상솟대문학 상 수상 작품을 살펴보더라도 장애인 문학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장애인 문학 은 장애인만이 체험할 수밖에 없는 삶을 통해 인간 삶의 비극성, 삶에 대한 낙 관적 희망, 영적 통찰력 등을 보여주고 있다. 『솟대 평론』은 일반전문 잡지로 인식되나, 장르의 다양성과 장애인의 주체성을 고려해볼 때 특수성을 띤 특수 저널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솟대 평론』은 일반전문 잡지와 특수 저널 사이의 어디엔가 위치한 특수성을 띤 저널이다.
        4,800원
        10.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기능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2차 패널조사에 참여한 6,121명 중 신체기능 장애인 1,780명의 데이 터를 추출하여 일반적인 특성,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 항목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 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 를 보였다. 우울감이 낮을수록,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 인권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41%의 설명력을 보 였다. 결론 : 신체적 기능장애인의 긍정적인 삶의 만족도를 위하여 장애인 자신의 긍정적 장애수용, 지역사회의 심리정서적 지원과 함께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식에 따른 관점변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300원
        1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growing attention on th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expenditure, and (2)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s study was based on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lle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cloth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happines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while being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endency on others.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dependency on others on happiness was found, in which negativ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o had low and mean level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but not high level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 which the indirect and negative effect of dependency on others on happiness via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for those with low and average level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These findings suppor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independenc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ir happiness.
        5,400원
        1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시의 65세 이상 장애노인에게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2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각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자기효능감과 사회적관계망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수용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노인의 장애수용을 높임으로써 성공적 노 화를 촉진할 수 있고, 장애수용 수준이 낮더라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망을 다양한 경로로 활용한다면 성공적 노화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경로확인을 바탕으로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6,400원
        13.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애인 캐릭터가 그들의 작품에 묘사될 때, 그 모습은 또한 재현 프로 토콜의 정체성을 촉진시킨다. 싱의 􋺷성자의 샘􋺸(The Well of the Saints)에서 메리와 마틴 그리고 오케이시의 􋺷주노와 공작􋺸(Juno and the Paycock)의 조니 보일과 같은 캐릭터들은 신체적인 장애를 통해 장애 캐릭터를 식별해 내는 아일랜드의 극적인 전 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나는 도덕적 결함으로서 장애와 타자성과의 접점으로서의 장 애의 관점에서 두 작품 속의 장애 재현을 이야기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것들이 주관 적인 인식과 정체성의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장애인들 이 혼란스러운 식민지 시대의 객관적인 상관관계일 뿐 아니라 작가의 창조적 기질의 기표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
        5,700원
        14.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 and Youth version (ICF-CY) is designed to record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hildren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a child’s environment on their health. Obj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ly extracted ICF-CY i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items. Methods: Thirty patients (17 males and 13 females) who were hospitalized in a pediatric and youth patient unit of a rehabilitation hospital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ur health professionals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wo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dependently linked the PEDI and GMFM-66 items to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domains of the ICF-CY. Results: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ICF-CY subdomains and the PEDI subdomains (r = 0.76–0.95; p < 0.05). There were positiv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ICF-CY subdomains and the GMFM-66 (r = 0.76–0.95; p < 0.05). Conclusion: The extracted ICF codes were a valid tool for evaluating the mobility and selfcare conditions of cerebral palsy in the pediatric rehabilitation area.
        4,000원
        1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12명이며, 수영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자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아효능감 평가는 전반적 자아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사회적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평가하였다. 운동 몰입 평가는 스포츠 몰입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는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를 활용하여 전반적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은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영 프로그램의 참여는 성인 지적장 애인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수영 프로그램의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4,200원
        1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Various treatments have been proposed for chronic low back pain (CLBP), but recent guidelines and reviews recommend regular physical exercise. However, some other studies have reported opposite results that sling exercise (SE) and other exercises (OE) did not differ in improving CLBP. Objective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meta-analyze the effects of SE on CLBP in studies published in Korea. Design: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SE with OE and modality therapy (MT), published up to June 2020, were identified by electronic searches. Primary outcomes were pain and disability.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WMD), stand mean difference (SMD)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E was effective for pain in the comparison of SE and MT [short-term: WMD=-1.64, 95% CI (-3.06, - 0.22); long-term: WMD=-0.34, 95% CI (-0.42, -0.26)]. It was effective for pain in the comparison of SE and OE [short-term: WMD=-1.18, 95% CI (-2.15, - 0.20); long-term: WMD=-0.66, 95% CI (-0.89, -0.43)]. It was also effective for disability in the comparison of SE and MT [short-term: SMD=-15.82, 95% CI (- 23.10, -8.54)]. We found no clinically relevant differences in disability between SE and OE. Heterogeneity was high in the comparison of SE and overall variables. Conclusion: If SE is applied to physical therapy to improve the main symptoms of CLBP patients, it may contribute to their recovery. More high-quality randomized studies on the topic are warranted.
        4,000원
        17.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re is an opinion that improper postures of the head and cervical spine are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orders (TMDs).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s among the cervical kyphotic angle, physical symptoms including the pain intensity level of the TMJ, and severity of TMD disability in patients diagnosed with TMD. Methods: Sixty-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valuation tools included measurements of the cervical kyphotic angle based on the Ishihara index, pressure pain threshold (PPT) on the TMJ, maximal mouth opening (MMO) without pain, current pain intensity level of the TMJ measured using the 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 (QVAS), Korean TMD (KTMD) disability index, KTMD Symptom Frequency/Intensity Scales (SFS/SIS), and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ervical kyphotic angle and parameters related to TMJ symptoms. Results: Variables th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ervical kyphotic angle were the PPT around the TMJ (r = 0.259, p < 0.05), current pain intensity level of the TMJ based on the QVAS (r = –0.601, p< 0.01), and usual pain intensity level based on the SIS (r = –0.379, p < 0.01). The level of TMD functional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headache (r = 0.551, p < 0.01), level of PPT of the TMJ (r = –0.383, p < 0.01), pain-free MMO (r = –0.515, p < 0.01), pain intensity level of the TMJ based on the QVAS (r = 0.393, p < 0.01), TMD symptom frequency (r = 0.739, p < 0.01), usual pain intensity of the TMJ (r = 0.624, p < 0.01), and most severe pain intensity of the TMJ (r = 0.757, p < 0.01). Conclus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ervical kyphotic angle and PPT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and usual pain intensity levels of the TMJ. The cervical kyphotic angle was a predictor of the pain level, tenderness threshold, and intensity of pain in the TMJ.
        4,000원
        1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etch-oriented home exercise programs are often used as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home exercise programs to strengthen rotator cuffs.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on pain, range of motion (ROM), disability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 11) and control group (n = 11). For the experimental group, manual therapy and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were applied for 6 weeks; for the control group, only manual therapy was applied for 6 weeks. Shoulder pain (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 QVAS), ROM, disability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Korean version, SPADI), and quality of lif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Korean version, WHOQOL-BREF) were evaluated at baseline, after 3 weeks, and after 6 weeks of intervention.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using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QVAS; SPADI-pain scores; SPADI-disability scores; SPADI-total scores; flexion, abduction,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and WHOQOLBREF total, overall,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scores. All group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as observed in the QVAS, SPADI, flexion, abduction, external and internal rotation 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and WHOQOL-BREF. Conclusion: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shoulder pain, shoulder ROM, disability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Therefore, we propose the use of home exercise programs for rotator cuff strengthening in the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4,200원
        1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를 비교하여, 유형별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2019 년 4월까지 실시하였고, 두군 간의 차이는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에 따라 두군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대처방식(r=0.23, p=.033), 장애수용과 웰니스(r=0.51, p<.001)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장애수용과 스트레스(r=0.72, p<.001)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웰니스(r=0.40, p<.001)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장애수용과 스트레스(r=-0.71, p<.001)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게, 대처방식과 웰니스는 높게 나타났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웰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증진을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전략 및 대처방식과 웰니스를 모두 증진시켜주는 전략이 필요하고 반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에게는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전략과 웰니스를 증진시켜 주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2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ling exercise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injuries, but research on the significant frequency intensity and appropriate treatment duration for sling exercises with local vibration stimulation is lacking.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with vibration on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muscle strength, pain, and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 medical diagnosis of shoulder joint injury. Methods: Twenty-two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Six sling exercises with and without 50 ㎐ vibrations were applied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Each exercise consisted of 3 sets of 5 repetitions performed for 6 weeks. The assessment tools used included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pain level, an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for functional disability. We conducted re-evaluations before and 3 and 6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ROM of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F=3.652, p<.05). In both groups, w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external rotation angl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 (p<.05). The flexor strength of the shoulder joint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F=4.247, p<.05). Both the experiment (p<.01) and control groups (p<.05)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houlder flexor strength at the measurement points. After 6 weeks of the interventions, both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VAS (p<.01), SPADI (p<.01), and orthopedic tests (p<.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in terms of the clinical outcomes observed. Conclusion: The sling exercise with local vibration of 50 ㎐ affected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improved shoulder flexor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shoulder injuries. Therefore, we propose the use of the sling exercise intervention with vibration in the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injuries.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