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체기능 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Human Rights on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5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기능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2차 패널조사에 참여한 6,121명 중 신체기능 장애인 1,780명의 데이 터를 추출하여 일반적인 특성,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 항목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 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 를 보였다. 우울감이 낮을수록,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 인권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41%의 설명력을 보 였다.
결론 : 신체적 기능장애인의 긍정적인 삶의 만족도를 위하여 장애인 자신의 긍정적 장애수용, 지역사회의 심리정서적 지원과 함께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식에 따른 관점변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human rights on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Methods: Data from 1,780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extracted from the 6,121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panel survey on the lives of the disabled conducted by the Korea Disabled Persons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human right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depression, human rights, and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and human rights showed.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human rights on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40%.
Conclusion: For positive lif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and positive acceptance of the disabled themselves,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the commun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3. 연구의 변수정의 및 측정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과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
    3.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주는 영향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최지현(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 Choi Ji-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Doctor’s Course)
  • 홍서진(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 | Hong Seo-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Master’s Course)
  • 차태현(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Cha Tae-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 황호성(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작업치료실 작업치료사) | Hwang Ho-Sung (Wonkwang University Gwangju Oriental Hospital, Occupational Therapist)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