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K-컬처 글로벌 경쟁력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방안 모색 :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오징어 게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Exploring Strategies for Sustain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K􀀐Culture : A Cultural􀀐Soci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nimation Movie K􀀐Pop Demon Hunters and the Netflix Series Squid 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K-컬처의 글로벌 경쟁력을 단발적 흥행이 아닌 장–자본–플랫폼–팬덤–혼종성의 상호작용 속에 서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과정으로 개념화한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시리즈 󰡔오징어 게임󰡕을 대상으로 질적 비교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편·패러텍스트의 텍스트 분석과 공개 팬덤 담론 의 담론 분석을 결합했다. 플랫폼 지표는 맥락 신호로만 활용했다. 분석틀은 (A) 내러티브 적응성, (B) 플랫폼 적합·창구 다변화, (C) 팬덤 참여·거버넌스, (D) IP 확장성, (E) 위험 분산의 다섯 축으로 조작화하 였다. 주요 결과: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음악–영상–현장 이벤트를 순환시키는 결합–확산형 전환(OTT↔ 극장 싱어롱 등)으로 상징자본을 신속히 증폭했다. 󰡔오징어 게임󰡕은 룰셋·시각 상징을 축적–제도화형 경로(시즌 아키텍처·글로벌 동시 공개)에 연결하여 장기 체류와 협상력을 강화했다. 참여 설계는 전자가 현장성·발화형, 후자가 지식 공동체형으로 구분되었고, 혼종성의 확장은 번역·감수성·접근성·현지 공동제작의 프로토콜화가 전제될 때 지속가능했다. 이에 근거해 본 연구는 쇼러너/작가실 기반 품질 거버 넌스, 메타데이터·양방향 창구 전략, UGC 마이크로 라이선스·보상, 다양성·정체성 원칙을 통합한 하 이브리드 운용 전략을 제안한다.

This study sees K-Culture’s global competitiveness as a sustainable outcome, resulting from interactions of the field, capital, platform, fandom, and hybridity. Using a qualitative comparative case study of K-Pop Demon Hunters and Squid Game, the study combined the textual analysis of texts/paratexts with discourse analysis of public fandom narratives while treating platform metrics as contextual signals only. The study’s framework operationalizes five axes as follows: (A) narrative adaptability, (B) platform fit & window diversification, (C) fandom participation & governance, (D) IP extensibility, and (E) risk hedging. The findings show a combination– diffusion pathway in K-Pop Demon Hunters. It loops music–video–live events (e.g., OTT↔theatrical sing-along), rapidly amplifying symbolic capital. Meanwhile, accumulation–institutionalization pathway was found in Squid Game. It ties the rule sets and visual symbols to seasonal architecture and global day-and-date releases, thus sustaining long-term engagement. In terms of participation designs, the former has diverge—embodied/performative while the latter knowledge-community. Regarding the scalable hybridity, what is required is as follows; protocolized practices in translation, sensitivity, accessibility, and co-production. The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hybrid operating strategy: the quality governance based on show-runner and writers, metadata-driven bidirectional windowing, micro-licensing and rewards for UGC, and institutionalized diversity & identity principle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부르디외의 장(field) 이론과 자본 개념
    2. 플랫폼 자본주의와 알고리즘 중개
    3. 팬덤 거버넌스와 참여문화
    4. 문화혼종성과 글로컬 전략
Ⅲ. 사례 연구
    1. 󰡔K-Pop Demon Hunters󰡕: 혁신형 IP의 결합·확산 전략
    2. 󰡔오징어 게임󰡕: 지속형 IP의 축적·제도화 전략
    3. 비교 논의: ‘결합–확산(혁신형)’과 ‘축적–제도화(지속형)’의 상보성
Ⅳ. 문화사회적 비교 분석
    1. 장과 자본 전환 메커니즘의 차이
    2. 플랫폼 적합도·유통 다변화·데이터 거버넌스 비교
    3. 팬덤 거버넌스와 참여 설계 비교
    4. 문화혼종성 설계와 확장성의 함의
Ⅴ. 지속할 수 있는 K-컬처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방안
    1. 콘텐츠 창작 역량 강화 및 품질 제고
    2. 글로벌 플랫폼 파트너십 확대 및 정책 지원
    3. 팬덤 생태계 구축 및 거버넌스 강화
    4. 문화 다양성 존중 및 정체성 유지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송시형(국제사이버대학교 K-컬처학부 부교수) | Song Shi-hyeong (Associate Professor, Div. of K-Culture, Gukje Cyber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