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 발생 양상이 다른 Peperomia 2종의 광질에 따른 생장 및 무늬 특성 변화
본 연구는 Peperomia 속 두 종(P. argyreia ‘Watermelon’과 P. obtusifolia ‘Variegata’)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광질(백 색, 청색, 적색)이 생장, 색소 조성, 무늬 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정 광질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장 반응 은 엽장, 엽폭, 초장, 엽수 등 모든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05), 이는 실내 광도 수준에서 광질 변화가 생장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그러 나 색소 조성과 무늬 면적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P. obtusifolia ‘Variegata’는 적색광 처리 시 chl a와 b, 총 car 함량이 감소하고, 무늬 면적 또한 유의하게 줄어드는 반응 을 보였다. 반면 청색광에서는 chl a와 car 함량 증가, chl a/b 비율 상승과 더불어 printed area의 안정적인 유지가 확인되 어, 청색광이 생리적 활성 유지에 유리한 광질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늬의 발현 방식에 따라 광질 반응성이 다르며, 실내 재배 시 광질 조절이 관상성과 생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light quality (white, blue, and red) on growth, pigmentation, and pattern area in Peperomia argyreia “Watermelon” and Peperomia obtusifolia “Variegata” to identify optimal conditions for indoor cultivation. Growth parameters, including leaf length, leaf width, plant height, and leaf cou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p ≥ 0.05), indicating the limited influence of light quality on vegetative growth at typical indoor light levels. However, notable differences appeared in pigmentation and pattern expression. In P. obtusifolia “Variegata”, red light exposure reduced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total carotenoid levels while inducing a significant decrease in pattern area. Conversely, blue light treatment increased chlorophyll A and carotenoid levels, raised the Chl A/B ratio, and preserved variegation patter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ue light supports physiological activity and stabilizes visual patterning in variegated cultivars. Overall, plant responses to light quality are closely linked to pigmentation and pattern expression, making strategic blue light management vital for maintaining both ornamental and physiological stability in indoor hort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