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 수수꽃다리속(Syringa) 식물의 정원수 활용을 위한 기 초 광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재배환경에서 수 수꽃다리속 4종(버들개회나무, 수수꽃다리, 털개회나무, 섬개 회나무)의 광-광합성 반응과 세포 내 CO2 농도-광합성 반응을 측정하였다. 낮은 광도 환경에서 생육이 적합한 털개회나무 (29.5~281.3μmol·m-2·s-1), 섬개회나무(30.2~404.0μmol·m-2·s-1), 수수꽃다리(31.4~680.7μmol·m-2·s-1), 버들개회나무(26.3~794.3 μmol·m-2·s-1) 순으로 광-광합성 반응을 보였다. 버들개회나무 는 소교목 또는 관목성으로 자라는 환경 변화에 적응성이 높은 종으로, 광포화점이 높아 전광을 받는 양지에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나 유년성 묘목은 비교적 내음성을 지닌다. 털개회나무는 반음지 환경에서도 광포화점에 도달하였다. 두 종(버들개회나 무, 털개회나무)은 광합성 반응에 따라 구분되는 생태적 지위를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적, 지속 가능한 정원 조성을 위하여 수종 및 식재환경 선택의 기초 정보를 제공 하고자 한다.
Korea’s aging rural workforce has led to serious labor shortages in chrysanthemum production, where approximately 90%–95% of growers still rely on conventional soil-based methods. Although sensor-driven automated irrigation is emerging as a labor-saving, resource-efficient technology, its use in soil-grown floricultural crops remains limited. This study assessed the suitability of soil moisture sensors for automated irrigation in the standard-type chrysanthemum “Baekgang”. Plants were cultivated in two soil-based greenhouses in Busan.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air temperature, humidity, vapor pressure deficit,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were recorded. Soil conditions were measured using FDR sensors (VWC and EC) and matric potential sensors, installed at a depth of 5 cm. Flowering quality was evaluated after the first harvest. Despite similar atmospheric conditions, soil water dynamics differed notably between farms. VWC averaged 23% in Farm A and 26% in Farm B, with fluctuations of ~6% and ~7%, respectively. Matric potential varied more widely, with range values of 32.6 kPa in Farm A and 51.2 kPa in Farm B, which reflects greater sensitivity to soil moisture changes. Farm A maintained stable moisture and lower EC, whereas Farm B experienced over-irrigation due to a high EC level of 8.25 mS·cm-1. These differences significantly reduced flower quality in Farm B, producing smaller capitulum (flower head) and thinner peduncles compared with flowers from Farm A.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atric potential sensors provide higher-resolution soil moisture data compared with VWC sensors. Therefore, combining matric potential and EC sensors is recommended for precise irrigation management in soil-based chrysanthemum production.
본 연구는 Peperomia 속 두 종(P. argyreia ‘Watermelon’과 P. obtusifolia ‘Variegata’)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광질(백 색, 청색, 적색)이 생장, 색소 조성, 무늬 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정 광질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장 반응 은 엽장, 엽폭, 초장, 엽수 등 모든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05), 이는 실내 광도 수준에서 광질 변화가 생장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그러 나 색소 조성과 무늬 면적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P. obtusifolia ‘Variegata’는 적색광 처리 시 chl a와 b, 총 car 함량이 감소하고, 무늬 면적 또한 유의하게 줄어드는 반응 을 보였다. 반면 청색광에서는 chl a와 car 함량 증가, chl a/b 비율 상승과 더불어 printed area의 안정적인 유지가 확인되 어, 청색광이 생리적 활성 유지에 유리한 광질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늬의 발현 방식에 따라 광질 반응성이 다르며, 실내 재배 시 광질 조절이 관상성과 생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Growing demand for edible flowers that combine aesthetic appeal and functional benefits has prompted research on light-based strategies to improve their qualit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varying blue (B) light exposure on morphological traits,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ochemical accumulation in two Viola cultivars with different petal sizes. Plants were cultivated under a 12-h daily photoperiod, with irradiation duration via white (W) and B LEDs varied among treatments (W12+B0, W8+B4, W4+B8, and W0+B12) while maintaining constant light intensity. Results indicated that prolonged B light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and flowering rate, particularly in the smaller-petaled cultivar “Delta Beaconsfield” (DB), and also enhanced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ABTS-based antioxidant activity. Conversely, the cultivar “Delta Trueblue” exhibited highe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levels under mixed W+B light illumination and showed stronger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otably, DB retained elevated chlorophyll levels under monochromatic B light, suggesting a unique photoadaptive or light-harvesting mechanism. The cultivars differing responses across assays highlight variation in light-regulated synthesis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potential of spectral manipulation, especially through B light, to improve the functional value of edible Viola flowers.
충청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는 분홍색 계통의 국화 (Chrysanthemum × morifolium (Ramat.) Hemsl.) 품종인 ‘레이디빈(Lady Vin)’을 육성하였다. ‘레이디빈(Lady Vin)’ 품 종은 분홍색 반겹꽃 특성을 가진 ‘G18-138-03’을 모본으로, 황색 반겹꽃 품종인 ‘기기골드(Gigi Gold)’를 부본으로 하여 2018년에 인공 교배를 통해 개발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 까지의 연차별 생육 및 개화 특성 조사를 거쳐 2021년에 최종 선발된 ‘레이디빈(Lady Vin)’은 반구형 초형과 Red Purple 65B에 해당하는 분홍색 설상화를 갖고 있으며, 개화 시기는 9월 12일로 확인되었다. 주요 생육 특성으로는 평균 화경 3.7cm, 본당 착화수 2,248.1개, 꽃잎 수 104.1개, 초장 22.9 cm이며, 엽색은 Green 139D에 해당하였다. ‘레이디빈(Lady Vin)’ 품종은 대조 품종인 ‘Marble Ball’과 유사한 초형과 엽색 을 보이지만, 개화시기와 착화수에서 차이를 나타내며, 화단이 나 도로변 조경용으로 활용도가 높다. 또한, 상품성이 뛰어나 화훼 농가에 새로운 수익 자원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는 학교운동장 굴취 토양(WSSPG)을 모래와 혼합 후 토양개량효과를 조사하여 잔디재배토양으로서 적합성을 조사 함으로써 천연잔디 운동장 조성 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모래 100%), WSSPG 5% 처리구 (WSSPG 5% + 모래 95%), WSSPG 10% 처리구(WSSPG 10% + 모래 90%), WSSPG 15% 처리구(WSSPG 15% + 모래 85%), WSSPG 20% 처리구(WSSPG 20% + 모래 80%), WSSPG 30% 처리구(WSSPG 30% + 모래 70%), WSSPG 40% 처리구 (WSSPG 40% + 모래 60%)로 설정하였다. WSSPG 처리 후 pH, EC, CEC등은 증대되었고,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총공극 및 포화수리전도도는 감소하였다. WSSPG의 처리량과 토양인자간 조사에서 pH, EC, CEC 및 용적밀도는 정의 상관성 을 나타냈고,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총공극 및 포화수리 전도도는 부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WSSPG는 토양 화학성을 개선하나 물리성 개선은 미미하였고, WSSPG 처리 후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고려할 때, WSSPG의 최대 처리량은 약 5% 정도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