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규모 앙상블 모형을 활용한 흰참꽃나무(Rhododendron sohayakiense var. koreanum)의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 생육지 변화 분석 KCI 등재

Projected Shift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Rhododendron sohayakiense var. koreanum Under Climate Change: An Ensemble of Small Models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13개의 제한된 출현자료를 바탕으로 아고산대 희귀식물인 흰참꽃나무(Rhododendron sohayakiense var. koreanum)의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 생육지 변화를 예측하였다. 소규모 자료로 인한 예측력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이변량 조합 기반의 소규모 앙상블 모형(Ensemble of Small Models, ESM)을 구축하였다. 환경변수는 CHELSA v2.1 의 Bioclim 및 확장변수와 NASA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기반 파생 지형변수 중 총 7개(BIO2, gst, gsp, swe, Slope, TPI, TWI)를 선정하였다. R의 ecospat을 이용해 SSP1-2.6, SSP3-7.0, SSP5-8.5 3개 시나리오 하에서 2100년까지 생육지 분포를 예측한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잠재 생육지는 점차 축소되었고, 특히 SSP5-8.5에서는 대부분의 적합지가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량의 출현자료만으 로도 ESM을 적용하여 희귀종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흰참꽃나무의 향후 보전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predicted potential habitat shift under climate change of the subalpine rare plant Rhododendron sohayakiense var. koreanum using only 13 limited occurrences. We constructed an ensemble of small models (ESM) based on bivariate combinations to compensate for the degradation in predictive power due to limited sample size. Seven high-resolution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used: four climate metrics from CHELSA v2.1 (BIO2, gst, gsp, and swe) and three topographic indices derived from the 30 m NASA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slope, TPI, and TWI). With the ecospat package in R, the ESM was projected to 2100 for thre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1-2.6, SSP3-7.0, and SSP5-8.5). All scenarios showed progressive habitat contraction, and the high emission SSP5-8.5 scenario produced an almost complete loss of suitable area by the end of the centur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SMs can provide reliable vulnerability assessments for narrowly distributed species even when occurrence data are scarce, offering a quantitative basis for conservation planning for Rhododendron sohayakiense var. koreanum and similar alpine rariti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사례 종 선정
    2. 종 출현정보 구축
    3. 대상지 선정
    4. 환경변수 선정
    5. 미래 시나리오 선정
    6. 소규모 앙상블 모형 구축
결과 및 고찰
    1. 최종 모형 입력 변수
    2. 모형 성능 및 변수 기여도 평가
    3. 흰참꽃나무 잠재 생육지 분석
    4.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위정현(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학석사과정) | Jeong-Hyeon Wi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 Goyang-si 10316, Republic of Korea)
  • 조유나(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박사과정) | Yu-Na Jo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 Goyang-si 10316, Republic of Korea)
  • 김준혁(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 Joon-Hyeok Kim (Forest Bio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won-si 16631, Republic of Korea)
  • 오충현(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 Choong-Hyeon Oh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 Goyang-si 1031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