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상남도 학교숲 현황 및 분석 KCI 등재

Analysi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Forest in Gyeongsangnam-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학교숲 53개교를 대상으로 학교 수목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수목 조사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으며, 학교 면적, 녹지 면적, 학생 수, 교목·교화 등 일반적인 현황을 함께 파악하였 다. 학교 종류별로 구분하였을 때, 중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초등학교, 고등학교보다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더 많았다. 소재지별로는 도시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비도시학교보다 낮았다.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에 비해 모든 녹지 관련 지표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상별 비교 결과, 낙엽활엽교목이 다른 성상에 비해 가장 많은 종 수를 보였으며, 향나무 '가이즈카', 동백나무, 영산홍, 은행나무, 배롱나무, 무궁화, 등이 성상별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53개교 전체에 대한 종다양도 평균은 2.33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도시학교, 사립학교가 타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상남도 학교숲 조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school trees in 53 school forests in Gyeongsangnam Province, classified them, and compared and analyzed each classification.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survey of woody plants and collected general information such as school area, green space area, number of students, and symbolic trees and flowers. By school type, middle schools showed higher average green space, average number of trees, average green space area per student, and average number of trees per student than elementary and high schools, except for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By location, urban schools had lower values in these indicators than non-urban schools, except for number of species. By establishment type, private schools showed higher values than public schools across all green-related indicators. By appearanc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Frequently observed species included Juniperus chinensis ‘Kaizuka’, Camellia japonica, Rhododendron indicum, Ginkgo biloba, Lagerstroemia indica, Hibiscus syriacus, and Wisteria floribunda. The average diversity across all 53 schools was 2.33, with high schools, urban schools, and private schools showing higher scores than other types.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eline data for school forest planning in Gyeongsangnam Provinc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학교숲 조사·비교 결과
    2. 고 찰
REFERENCES
저자
  • 김경록(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석사연구원) | Kyeong-Rok Kim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배경선(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박사과정) | Kyung-Sun B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 허채림(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석사과정) | Chae-Rim He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 전보민(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석사과정) | Bo-Min J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 신해선(국립생태원 습지센터 전임연구원) | Haeseon Shin (Wetland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hangnyeong, 50303, Republic of Korea)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