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VR Use on Dry Eye Syndrome: Focusing on Undergraduates Having a Major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KCI 등재

VR 사용이 안구건조증에 미치는 영향: 체육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연구에서는 HMD VR 사용 시 눈에 발생하는 건조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눈 내부의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신체 건강한 체육계열 대학생으로 선정하였고 안구건조증의 영향이 있거나 안질환 병력, 수술자와 양안시기능 이상자는 제외하여 최종 연구 대상자는 49명으로 선정되었다. 체육계열 대학생의 HMD 내부 온도, 습도, 체감온도의 변화를 50분간 관찰하였고 VR 사용 전후로 맥모니 테스트(McMonnies test)를 실시하 였다. 결과 : HMD 내부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40분 이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습도는 사용 직후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분 이후에는 초기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지속적인 체 감온도 상승은 안구건조증 증상뿐만 아니라 시각적 불편감을 줄 수 있다. 결론 : HMD 방식의 VR 기기의 설계는 안구내 습도환경과 열적 불쾌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편안함과 장기적 인 눈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적 검증이 제시되어야 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observe changes in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ye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dry eye symptoms during Head-Mounted Display (HMD) VR use.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hysically health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excluding individuals with existing dry eye symptoms, ocular diseases, a history of eye surgeries, or binocular vision disorders. The final study group consisted of 49 participants. The internal eye temperature, humidity, and heat index were monitored over a 50-minute period, and McMonnies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VR use. Results : The internal eye temperature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after 40 minutes. The humidity rapid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VR use, then decreas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baseline after 25 minutes. The sustained rise in heat index may contribute not only to dry eye symptoms but also to visual discomfort. Conclusion : The design of HMD-based VR devices should consider the eye's humidity environment and thermal discomfort.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ongoing research and experimental validation to ensure user comfort and long-term eye health.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3. 자료분석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Hee Jae Jeong(Dept. of Convergence Health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tudent, Suwon) | 정희재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의과학과, 박사과정 학생, 수원)
  • Hyun Uk Park(Dept. of Sports and Leisure,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박현욱 (백석문화대학교 스포츠레저학부, 교수, 천안)
  • Chang Won Park(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박창원 (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