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狂憤3부작: 장욱·팔대산인·최북 -동양 예술 감정의 경계를 넘다 KCI 등재

Kwangbun Trilogy: Jang Wook, Paldaesanin, Choi Buk - Dongyang Artistic Emotions Cross the Bounda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논문은 동양 예술사에서 ‘광기’와 ‘격렬한 감정’을 삶과 예 술에 함께 구현한 장욱, 팔대산인, 최북의 작품세계를 하나의 미학적·정신사적 흐름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들은 각기 다른 시대와 지역에 속하지만, 내면의 혼돈과 격정을 예술로 승화시 킨 창작자들이며, 본 연구는 장욱, 팔대산인, 최북을 ‘狂憤3부 작’으로 제시하며, 이들을 중심으로 감정의 미학적 형상화를 탐 구한다. 장욱은 초서를 통해 열광적 정념을 직접 표출하며 ‘광서’라는 독자적 표현 양식을 구축하였고, 팔대산인은 기이한 필치와 초 현실적 구성을 통해 절제된 화면 속 내면의 광기를 드러냈다. 최북은 조선 후기의 억압 속에서 자의식과 감정을 극대화하며 신체적 실천으로 회화의 규범을 전복, 독창적 미학을 형성하였 다. 본 논문은 이들의 작품을 감정의 미학, 광기의 정치학, 탈중 심적 시각성이라는 세 가지 분석 축을 통해 조명하며, 전통적 으로 억제와 균형을 강조해온 동양 예술 미학에 비판적 시선을 제기한다. 세 작가의 창작은 통제 불가능한 감정의 분출이 오 히려 형식 실험과 정체성 표현의 기원이 되었음을 보여주며, 감정·이성, 질서·혼란, 중심·주변의 경계를 넘나드는 예술적 실 천이 현대 예술의 비 규범성과도 맞닿아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광기의 미학’이 병리적 현상이 아닌 창조적 에너 지의 형식적 구현이며, 시대와 자아, 전통과 권위에 저항하는 예술가의 주체적 실천임을 논증한다. 장욱, 팔대산인, 최북의 예술은 인간 정념의 예술적 가능성을 확장한 ‘격정의 예술’로 재해석될 수 있다.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world of works of Jang Wook, Paldae Sanin, and Choi Buk, who embodied "madness" and "fierce emotions" in life and art together in the history of Eastern art, as an aesthetic and mental historical flow. Although they belong to different times and regions, they are the creators who sublimate their inner chaos and passion into art, and this study presents Jang Wook, Paldae Sanin, and Choi Buk as a "Gwangbun Trilogy," and explores the aesthetic imagery of emotions around them. Through Chaucer, Jang Wook directly expressed his enthusiastic passion and built his own expression style called "Gwangseo," while Paldaesanin revealed his inner madness in a restrained screen through bizarre handwriting and surreal composition. Choi Buk maximized self-consciousness and emotions amid the oppress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subverted the norms of painting through physical practice, and formed an original aesthetics. This paper illuminates their work through three analysis axes: emotional aesthetics, madness politics, and decentralized visuality, and raises critical views on oriental art aesthetics that have traditionally emphasized suppression and balance. The creation of the three artists shows that the outburst of uncontrollable emotions became the origin of formal experimentation and identity expression, and that artistic practice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emotion, reason, order, confusion, and center and surrounding is also in line with the normality of modern art. This study argues that 'the aesthetics of madness' is not a pathological phenomenon, but a formal realization of creative energy, and is an artist's subjective practice that resists the times, self, tradition and authority. The art of Jang Wook, Paldaesanin, and Choi Buk can be reinterpreted as 'the art of passion' that expands the artistic possibility of human pass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동양 예술 감정의 경계를 넘다
Ⅲ. 감정의 파열음: 예술 형식과 표현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부수(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Choi Boosoo (Ph.D. program,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