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Leadership of Supervisors and Safety Attitudes and Safety Behaviors of Subordinates
본 연구는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발된 안전리더십 측정도구를 중국의 중소기업을 연구 대상 으로 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재검증하고 사회인지이론에 기반하여 상사의 안전리더십이 구 성원의 안전태도 및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기업에 재직 중인 상사와 구성원 199쌍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소기업의 안전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둘째, 안전리더십의 세 가지 하위요인(과업지향, 관계지향, 변화지향) 모두 구성원의 안전태도와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태도는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안전리더십을 구성하는 하위요인(과업지향, 관계지향, 변화지향)이 한 국의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중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측정하여도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재검증하였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안전리더십 측정도구로서 이론적인 신뢰성을 제고하였고 이를 바 탕으로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하에 조직 내 상사의 안전리더십이 구성원의 안전태도와 안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서 중소기업 안전리더십 연구에 관한 실증연구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re-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by targe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hina with the safety leadership measurement tool developed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and analyzed the empirical causal relationship by collecting data from 199 pairs of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working in Chinese companies on the effect of the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on the subordinates' safety attitudes and safety behavior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easurement tool that can measure the safety leadership of SMEs were improved. Second, all three sub-factors of safety leadership (tasks motivated, relationship motivated, and change motivated)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of subordinat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This study re-verified that the sub-factors(tasks motivated, relationship motivated, and change motivated) that make up safety leadership consist of three sub-factors even when measured not only for Korean SMEs but also for Chinese SMEs, which improved theoretical reliability as a measurement tool for safety leadership of SMEs, and based on this, it provided the basis for empirical research on SME safety leadership research by suggesting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safety leadership of bosses in the organization can improve the safety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of members under the Social Cognitive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