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MX가 상대적 박탈감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SC의 조절된 매개효과 KCI 등재

The influence of LMX on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and deviant behavior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LMXS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9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LMX가 상대적 박탈감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를 검 증하고, LMXSC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25개 기업 278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상대적 박탈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적 박탈감은 조직대 상 일탈행동과 개인대상 일탈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대적 박탈감은 LMX 와 조직대상 및 개인대상 일탈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는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개인대상 및 조직대상 일탈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LMXSC는 LMX와 상대적 박탈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LMX가 상대적 박탈감에 미 치는 부의 영향은 LMXSC가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LMXSC는 LMX 와 조직대상 및 개인대상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LMX가 상대적 박탈감을 매개로 조직대상 일탈행동, 개인대상 일탈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LMXSC가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 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posit that leaders tend to develop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different employees. Differentiation however can also lead to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 such as the perception of unfairness, and in particular employees engaged in relatively low-quality LMX are likely to be frustrated when comparing their situation with that of their peers. Based on the relative deprivation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MX on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and both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in these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how LMXSC might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 survey of the 25 Korean firms was conducted.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study totaled 278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LMX is negatively linked to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2)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is negatively linked to both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s. 3)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MX and both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s. 4)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was moderated by LMXSC, such that these relationship is stronger when employees believe that they have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than their co-worker. 5) LMXSC negatively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both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

목차
< 목 차 >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LMX와 상대적 박탈감
    2.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
    3. LMXSC의 조절효과
    4.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표본 및 자료수집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Ⅳ. 분석 및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연구 가설의 검증
Ⅴ. 토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저자
  • 김병용(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Kim Byeongyong
  • 김형진(호남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 Kim Hyungjin
  • 심덕섭(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Shim Duksup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