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구술기록을 통해 본 장승제 기억과 공동체 신앙의 지속성 : 대전 읍내동 장승제를 중심으로 KCI 등재

Memory of Jangseungje and the Continuity of Community Belief through Oral History : A Case Study of the Jangseungje in Eumnae-dong, Daej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0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에서 거행되었던 장승제를 중심으 로, 노년 세대의 구술채록 자료를 통해 민속신앙 의례의 기억과 공동체 신앙의 지속성을 탐색하였다. 구술자들의 회고를 기억연구 이론틀에 따 라 분석한 결과, 장승제에 대한 기억은 단순한 과거 회상이 아니라, 장소 성과 감정, 언어적 수행, 신체적 실천이 복합된 사회문화적 구조임이 드 러났다. 특히 구술은 공동체 내부의 집합기억을 외재화하는 수행적 행위 이며, 이를 통해 전통 의례는 단절 이후에도 새로운 방식으로 복원되고 재맥락화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장승제의 사례를 통해 전통 민속신앙이 기억을 매개로 현대 공동체 안에서 지속 가능하다는 점을 조명하며, 향 후 지역문화의 지속적 계승과 기억자원화 전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tinuity of community beliefs embedded in traditional Korean folk rituals by analyzing oral histories of elderly residents regarding the Jangseungje (village guardian pole rite) once practiced in Eumnae-dong, Daedeok-gu, Daejeon. Utiliz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emory studies, the narratives were examined not merely as recollections of the past but as socio-cultural constructs shaped by spatiality, emotion, linguistic performance, and embodied practi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oral testimony functions as a performative act of collective memory, allowing traditional rituals to be revived and recontextualized even after historical disruption. Through the case of the Eumnae-dong Jangseungje, this paper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folk religious practices to persist within contemporary communities via mediated memory,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long-term strategies for sustaining local culture and transforming memory into a shared community resourc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기억, 민속신앙과 공동체 기억
Ⅲ. 지역 개황과 읍내동 장승제 개요
Ⅳ. 구술자의 기억 담론 분석
    1. 회고 서사의 구조
    2. 기억의 장소로서의 장승제
    3. 언어적 표현과 정서: 기억의 언표 방식
    4. 기억의 단절과 지속 양상
Ⅴ. 장승제와 공동체 신앙의 지속성
    1. 장승제의 재맥락화: 전통 의례의 현대적 변용
    2. 세대 간 전승: 신앙의 단절과 복원
    3. 기억의 문화적 구조화와 공동체 정체성
    4. 공동체 신앙 회복과 기억 아카이빙
Ⅵ.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저자
  • 노영희(건국대학교) | Younghee Noh (Konk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