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새로운 경향 : 전자포트폴리오 평가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유아평가란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라 교육 활동을 전개하면서 교육활동 전, 교육활동 과정 중, 그리고 교육활동 후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발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유아평가는 유아의 건강, 기본생활습관, 정서적 안정감, 사회적 적응, 창의적 표현, 의사소통능력 및 탐구심 등에 중점을 두고 유아 개개인의 발달에서 진보된 부분과 지연된 부분의 발견에 초점을 두도록 해야 한다. 또한 평가는 유아의 개인적 발달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학급에 속한 모든 유아의 발달 수준의 범위를 발견하기 위해서 그리고 학습의 효과 및 발달적 변화를 비교하고 다음 단계의 학습에 대한 준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교육부, 1995). 결국 유아평가의 목적은 각 개별 유아를 더 잘 이해하는데 있으며,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긍정적 도움을 주어 유아의 발달을 돕는데 있다 하겠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유아평가는 주로 검사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평가방식도 주로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측정방식을 따랐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많은 유아교육자들이 비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검사에서 제시하는 검사문항은 대부분 아동에게 기계적 암기만을 강조한다는 점, 검사가 유아의 능력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검사문항이 유아의 실제생활과 관련이 없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으며, 아동의 상위사고기술(higher-order thinking skill)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점도 약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더구나 표준화 검사는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 영향은 계속 누적된다. Paris, Lawton, Turner & Roth(1991)연구에 의하면 학습자가 검사를 받으려는 동기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가 검사 경험이 증가될수록 검사를 싫어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학습자는 표준화 성취검사에 대해서 불쾌하게 생각하거나 불안해하며 검사결과 자체를 인정하려 하지도 않는다. 더구나 낮은 점수를 받은 학습자는 다음 검사나 시험에 성공하려는 노력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검사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자아 존중감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표준화 검사와 같은 검사에 대한 의존은 검사의 내용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이 결정되는 폐해를 가져왔다. 이러한 검사주도의 교육과정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학습의 기회를 제한한다(Shepard, 1991). NAEYC(1988)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유아들은 검사지 문항에 대해 한 가지 옳은 답만을 찾도록 배웠고, 생각하도록 격려되지는 못했다"라고 개탄했다. 이러한 전통적인 검사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좀 더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이해를 교수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유아평가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성과의 하나가 포트폴리오 평가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를 참 평가(authenticassesment), 대안평가(auternativessessment),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등으로 부른다. 포트폴리오나 수행 평가방법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란 유아가 하고 있는 작업 활동과 그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진술하는 과정이며 이것은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교육적 결정을 하게 될 때 기초가 될 수 있다(NAEYC & NAECS/SDE, 1991, p21).

저자
  • 김경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