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and Validating a Coaching Supervision Model
본 연구는 코칭 수퍼비전에 대한 이론적 기반 및 연구 부족을 해결하고자 수 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 코치 2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주 관성 연구 기반)를 통해 코칭 수퍼비전 모델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도출된 구 성요소 및 하위요인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활용 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코칭 수퍼비전 모델은 수퍼바이저, 수퍼바이지, 코 칭 수퍼비전 관계, 코칭 수퍼비전 운영체계의 4가지 주요 구성요소와 총 2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칭 수퍼비전의 개념 정립 및 체계화에 기여하고, 코칭 수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교육 지침 마련에 활용될 수 있으며 코칭 수퍼비전 교육 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 료를 제공함으로써, 전문 코칭 수퍼바이저 양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칭 현장에서 수퍼비전을 통해 코치의 역량 강화 및 윤리적 인 코칭 실천을 지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코칭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 to address the existing gap i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on coaching supervision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omprehensive model. A literature review and Q methodology-based interviews with 24 professional coach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key components of effective coaching supervis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dentified components and their subfactors was rigorously assess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The resulting coaching supervision model consists of four core components: the supervisor, the supervisee, the coaching supervision relationship, and the coaching supervision operating system. These components encompass a total of 26 subfactors. Key subfactors include the supervisor's experience and professional attributes, the supervisee's understanding of clients and coaching skills,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mutual respect and open communication, and the presence of ethical guidelines and a structured 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provid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field by offering a well-defined and validated model for coaching supervision.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develop specific training programs for coaching supervisors, to establish benchmarks for effective supervision practices, and to ultimately enhance the quality and ethical standards of coaching services. The model is expected to serve as a practical resource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coaching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