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에서 강원도 농업기술원, 철원, 삼척, 태백지역 가시오가피 줄기를 1월과 7월에 수확하고,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로 제조 후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조성 및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 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RAP 활성을 통해 항산화 활성 을 측정하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가시오가피 줄기 모두에 서 17종이 검출되었고, 가장 함량이 높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7 월보다 1월이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강원도 농업기술원 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만 1월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은 추출물은 1월 삼척지역의 열수 추출물로 6.16±0.31 g/100 g이었고, 가장 낮은 함량 을 보인 추출물은 1월 강원도 농업기술원의 70% 에탄올 추출물로 2.17±0.11 g/100 g을 확인하였다. 총 지방산 함 량은 7월 철원지역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74.51±3.73 mg/g으로 가장 높았고, 1월 철원과 삼척지역의 열수 추출 물에서 0.74±0.04 mg/g으로 가장 낮았다. 1월과 7월 모두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았고, 1월보 다 7월이 더 높았으며, 1월과 7월 모두 70% 에탄올 추출 물에서 다중불포화지방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의 경우 1월 추출물은 36.99-61.53 mg GAE/g이었으며, 7 월에는 123.81-154.18 mg GAE/g으로 7월이 1월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월이 134.85- 173.77 mg QE/g이었으며, 7월에는 186.12-318.73 mg QE/ g으로 7월에서 더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 mg/mL 농도에서 7월 태백지역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87.90±0.06%으로 가장 높았으며, 1월 강원도 농 업기술원과 철원지역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5.51±1.08%와 36.00±1.25%로 낮았다. ABTS 라디칼 소거 능은 5 m g/mL 농도에서 7월 태백과 철원, 삼척지역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93.44±0.20%, 92.92±0.49%, 92.03±0.50%로 높았으며, 1월 강원도 농업기술원과 철원지 역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55.35±1.19%와 55.62±0.85%로 낮았다. FRAP 활성은 1 mg/mL 농도에서 7 월 태백지역의 열수 추출물에서 443.41±8.20 mM TE/mL 으로 가장 높았으며, 1월 강원도 농업기술원의 70% 에탄 올 추출물에서 256.06±1.49 mM TE/mL으로 가장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활성 모두 7월 태백지역 70% 에탄올 추출물에 높았으며, 1월 강원도 농업기술원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가시오가 피 줄기의 적절한 수확시기 및 지역에 따른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 는 평균 길이가 약 2.2 cm이고, 자흑색의 타원형으로 육안 상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는 비슷한 외형을 보 인다.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를 기능성 식품소 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polyphenol, amino acid 및 fatty acid 를 분석하고,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원산지에 따른 차 이를 비교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열수 추 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58±0.11 mg QE/g 과 11.83±0.25 mg QE/g의 결과를 보였고, 중국산 열수 추 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49±0.09 mg QE/g 과 4.46±0.10 mg QE/g의 결과를 보여 국내산이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보다 2배 이상 높았다.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및 rutin을 분석한 결과, chlorogenic acid 함량이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 올 추출물에서 각각 1.51±0.02 mg/g과 1.94±0.03 mg/g으 로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23±0.00 mg/g과 0.25±0.01 mg/g을 보인 결과보다 7배 이상 높았으며, caffeic acid와 rutin은 모든 추출물에서 미 량 또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종의 아미노산 이 확인되었고,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 물에서 cystine을 제외한 16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 산 함량은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중 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02±0.03 g/100 g과 0.81±0.03 g/100 g, 0.15±0.01 g/100 g 과 0.05±0.00 g/100 g의 결과를 보였다. 지방산 분석결과,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및 중국산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caprylic acid (C8:0)를 제외한 13종 지 방산이 확인되었고, 중국산 열수 추출물에서 caprylic acid (C8:0)와 lignoceric acid (C24:0)를 제외한 12종 지방산이 확인되었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C16:0)로 확인되었다.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52.02±2.00- 84.17±3.5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총 지방산 함량은 국 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중국산 열수 추출 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49±0.06 mg/g과 1.12±0.03 mg/g, 0.45±0.03 mg/g과 0.76±0.02 mg/g을 보였 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지방산 함유량이 대체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세포독성 측정결과,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은 500-2,000 μg/mL 농도에 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내지 않았다. NO 생성억제 활성은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NO의 생 성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cytokine 생성억제 활성 또한 TNF-α와 IL-6의 생성량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 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통하여 댕댕이나무 열매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rradiated large compon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must perform dismantling after performing a lot of training through mockup, but this mockup training is different the realistic environment such as a high radiation environment. Therefore, to develop a training system deployed in eXtended Reality (XR) that mimics a realistic environment, a suitable training and evaluation processes need to be developed. The target components for the training system select reactor, reactor internal and steam generator, and the training work of dismantling processes select dismantling, packaging and dismantling support work by reviewing the dismantling process of each component for XR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detailed process of the selected dismantling proces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application processes will be developed. The basic contents of training system present purpose, goal, period, and evaluation for training and the training contents develop the basic, improvement and intensified course by level. The basic model for evaluation develop 3 stages (reaction, training, behavior) and evaluation process present detail training contents, target and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criteria by level. Additionally, the developed training course and evaluation models will be useful for worker training in dismantling process of nuclear power plant.
Probiotics have been evaluated as therapeutic agents for cancer treatment i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nd cytotoxic effects of specific Lactobacillus strains on a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HT-29). The strains assessed were Limosilactobacillus (L.) reuteri VA 102, Ligilactobacillus (L.) animalis VA 105, and Limosilactobacillus (L.) reuteri KCTC 3594 (ATCC 23272). The viability of HT-29 cells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The findings revealed that cell-free supernatants (CFS) exhibited significant anticancer effects. Heat-inactivated L. reuteri VA 105 and L. reuteri KCTC 3594 induced a pronounced reduction in cell viability. Furthermore, live cultures of L. reuteri VA 105 and L. reuteri VA 102 also showed reduced cell vi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FS and heat-inactivated cells may be more suitable for therapeutic applications than live bacteria owing to their improved safety profiles and reduced potential for adverse effects. Our findings also emphasize the potential anticancer benefits of these LAB strains.
발효 느타리버섯재배부산물을 급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참나무 발효톱밥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 과 유해물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발효 느타리버섯재배부산물을 급이한 유충(OMCB)에서 54.0%로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한 유 충(FOS) 47.2%보다 1.1배 많았다. 필수아미노산 중 류신은 OMCB에서 2.8%로 가장 높았고, FOS에서는 2.7%로 비슷한 수치였다. 비필수아미 노산은 OMCB에서 프롤린의 함량이 7.2%로 가장 높았고 FOS (5.6%)보다 1.3배 더 높았다. 무기질 중 칼륨은 OMCB (2771.2 mg/100 g)와 FOS (2765.0 mg/100 g)에서 비슷한 수치였고, 불포화지방산 중 올레산은 OMCB (58.2%)와 FOS (59.6%)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 해물질 분석 결과, OMCB와 FOS에서 납, 카드뮴, 비소 모두 식용곤충 중금속 기준에 적합하였고, 식중독균에 속하는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모두 불검출되었다. 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효 느타리버섯재배부산물 급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양성 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전성 또한 검증되었으므로 식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Processing of medicinal plants and mushrooms plays a crucial role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otenc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processed under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120 to 180 °C) and times (10 to 20 minutes). Processe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total phenol content,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O assay, ROS scavenging capacity, and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Antioxidant potency was highest with processing at 180 °C for 10 min and at 210 °C for 10 min. This enhanced activity is likely attributed to changes in compound functional groups due to heat processing, which in turn influences antioxidant activity. In contrast to antioxidant potency,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ganoderic acid D, ganodermanonitriol, and ergosterol, show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ime.
강도다리 대상 수인성 카드뮴 독성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96시간 동안 0, 2.5, 5, 10, 20, 40 mg Cd2+/L 에 노출시켰으며, 96시간 반수치사농도(LC50)는 21.42 mg Cd2+/L로 나타났다. 혈액학적 성상분석에서 Hematocrit와 Hemoglobin은 20 mg Cd2+/L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장 무기성분에서 calcium은 20 mg Cd2+/L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magnesium은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혈장 유기성분인 glucose는 카드뮴 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 효소 성분인 AST, ALT 및 ALP는 수인성 카드뮴 노출에 의해 20 mg Cd2+/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인성 카드뮴 급성 노출이 강도다리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 내 독성을 유발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 유발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다.
Advanced technoloig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is also applied to weapons systems to prepare for future battles. Bu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leads to DMSMS(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 and Material Shortage) because it brings a short life cycle of parts. In particular, DMSMS frequently appear in electronic parts with a short launch cycle for new products. The life support system of K2MBT(Main Battle Tank) is a key functional item related to crew survivability and convenience. Recently, various parts have been cut off on the life support system, requiring a redesign of the Control Box. The K2MBT is not only central to domestic production but also plays a key role in export projects to countries like Poland, making continuous production necessary. This study aimed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component production and reduce maintenance costs by redesigning the control box.
This study focuses on optimizing the uniform pressing process in precision manufacturing, addressing challenges posed by surface roughness and height differences between components. In real-world conditions, such irregularities can lead to non-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pressing, negatively affecting product quality. To mitigate these issues, a buffer protection layer was introduced between the press and components. The optimiza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FEA) to determine the ideal material properties, including elastic modulus, Poisson's ratio, and thickness of the buffer layer. Two surface roughness scenarios were examined to assess the impact of surface conditions on pressing uniform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er elastic modulus, Poisson’s ratio, and thicker buffer layers are more effective in achieving uniform pressing, particularly under rougher surface conditions.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solution for improving the precision and reliability of pressing processes, ensuring better product consistency and enhancing overall manufacturing efficiency.
본 논문은 한자구형학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구성요소 ‘土’의 구성의미를 고찰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요소 ‘土’의 구성의미 분석을 위해, 說文解字에 수록된 소전 자형 중 ‘土’가 결합된 161개의 자형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문헌의 용례를 참 고하여 이들 자형의 본의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해당 자형들을 땅과 땅이름, 토양의 속성, 토지 경작과 치리, 건축물과 건축 관련 활동, 땅과 관련된 대상이나 사 물, 땅과 관련된 활동의 여섯 가지 의미 범주로 귀납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 ‘土’의 구성의미 분포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土’의 기본 구성의미인 ‘땅’을 중심으로 ‘땅에 존재하는 물질’, ‘땅으로부터의 생산물’, ‘땅을 기반으로 한 재창조’라 는 세 가지 파생 구성의미로 확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대 중국인들 이 삶의 터전인 땅을 얼마나 중시했으며,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이를 통해 고대 중국인의 ‘土’에 대한 인지적 개념 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Health concerns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PM) pollution are on the rise glob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main components of PM o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Calu-3), focusing on three distinct types: PM10-bound PAHs (including Benzo[a]anthracene and Benzo[b]fluoranthene), PM10-bound trace elements (containing arsenic and lead), and PM2.5-bound ions (comprising sodium and calcium). Calu-3 cells were exposed to these PM components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2 to 100 μg/mL. Unexposed Calu-3 cells exhibited a 60% increase in metabolic activity after 12 hours. In contrast, exposure to PM components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cell viability, with PM10-bound PAHs and PM10-bound trace elements causing decreases of 54% and 55% respectively, and PM2.5-bound ions leading to a 63% reduction at 100 μg/mL. Additionally, there was found to be a notable rise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8 and TNF-α. Specifically, IL-8 levels increased by 456%, and TNF-α levels rose by 660%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PM2.5-bound 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ize and composition of fine dust particles play a critical role in their cytotoxic effects, contributing to increased cell death, membrane damage, and necrosis in airway epithelial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range of explosion damage due to gas leaks at LPG filling stations, focusing on propane and butane, which are components of vehicle LPG. The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explosion incident at an LPG filling station in Gangwon-do, where an actual gas leak accident occurred, resulting in Scenario I and Scenario II. The ALOHA program, developed by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was used as the tool to analyze the impact range of the explosion damage for both substa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under identical conditions, propane had a wider impact range of damage than butane.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greater explosion energy of propane, attributable to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fore, when preparing for LPG leak accidents, measures for propane need to be prioritized. As safety measures for propane, two suggestions were made to minimize human casualties. First, from a preventive perspective, it is suggested to educate workers about propane.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response measures and damage minimization, it is suggested to thoroughly prepare emergency evacuation and rescue plans, evacuation routes, designated shelters, and emergency response team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mpact range of radiative heat damage based on LPG components. However, hazardous accidents are critically influenced by the type of leaking substance, the form of the leak, and meteor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pattern of the substance. Therefore, for future research, it is proposed to model various leakage scenarios for the same substance to conduct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Rehmannia glutinosa root and Saururus chinensis plant have been widely used in natural traditional medicin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s of R. glutinosa root and S. chinensis plant by extraction method.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extraction yield,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 by extraction method indicated that extraction yield had the best performance with hot water extraction for R. glutinosa an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for S. chinensis. The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 had the best performance with maceration extraction for R. glutinosa an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for S. chinensis. ABTS and DPPH activity was excellent with maceration extraction for both R. glutinosa and S. chinensis. The analysis of the main components showed that maceration extraction was most effective for both S. chinensis and R. glutinosa. Specifically, maceration extraction of R. glutinosa yielded 1.5 times more than conventional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본 연구는 국내 천연 자생 식물인 쥐오줌풀을 정유 추출하여 향기 성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항산화(DPPH, ABTS), 세포생존율(MTS), 항염(Nitric oxide)실험을 수행하였다. 향기성분 분석결과 쥐오 줌풀의 대표 유효 성분인 ester류의 bornyl acetate가 47.88%로 타지역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나타났으며 patchouli alcohol (18.9%), camphene (11.37%), camphene (11.37%), α-Pinene (5.44%), D-limonene (1.11%)등이 동정되었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이 250 μl/ml에서 73.62%, ABTS 라디칼 소거능이 250 μl/ml에서 82.17%을 보였으며,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5 μl/ml의 농도에서 NO 생성 저해능은 대조군에 대비 62.02%로 감소함을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능성 제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과학 적으로 검증하여 쥐오줌풀 정유를 활용한 연구분야에 일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는 바이다.
In this study, the design of fuel tank for SUVs (sports utility vehicles) was addressed through structural FE-simulation. For safety evaluation, we performed a shape analysis of fuel tank, discovered improvement measures for weak areas, and reflected them in the fuel tank design. Additionally, a strength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design.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various design changes, it was possible to propose an appropriate fuel tank shape. Additionally,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shape of the reinforcement and mounting bracket on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fuel tank bracke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design of parking brake mounting bracket for SUVs (sports utility vehicles) was handl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For safety evaluation, we conducted a shape analysis of parking brake mounting bracket, discovered improvement measures for weak areas, and reflected them in the design. In addition, a strength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design.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various design change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n appropriate parking brake mounting bracket shape. In addition,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shape of the reinforcement and mounting bracket on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parking brake mounting bracket was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