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 느타리버섯재배부산물을 급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참나무 발효톱밥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 과 유해물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발효 느타리버섯재배부산물을 급이한 유충(OMCB)에서 54.0%로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한 유 충(FOS) 47.2%보다 1.1배 많았다. 필수아미노산 중 류신은 OMCB에서 2.8%로 가장 높았고, FOS에서는 2.7%로 비슷한 수치였다. 비필수아미 노산은 OMCB에서 프롤린의 함량이 7.2%로 가장 높았고 FOS (5.6%)보다 1.3배 더 높았다. 무기질 중 칼륨은 OMCB (2771.2 mg/100 g)와 FOS (2765.0 mg/100 g)에서 비슷한 수치였고, 불포화지방산 중 올레산은 OMCB (58.2%)와 FOS (59.6%)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 해물질 분석 결과, OMCB와 FOS에서 납, 카드뮴, 비소 모두 식용곤충 중금속 기준에 적합하였고, 식중독균에 속하는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모두 불검출되었다. 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효 느타리버섯재배부산물 급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양성 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전성 또한 검증되었으므로 식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mmune function (HI titer) in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Hermetia illucens (H. illucens) peptide extract over a 40-day period. Twenty-four broiler chicks (Arbor Acres, 1 d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different diets (control, 0.1%, 0.5%, and 1% H. illucens peptide extract). To evaluate HI titer, all broilers were vaccinated with H9H2 vaccine subcutaneously on the lateral thorax,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Similar HI titer was observed with 1% H. illucens peptide extract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40 days (p>0.01). Groups fed 0.5% H. illucens peptide extract demonstrated the most effective immune effects (p<0.01), followed by groups fed 0.1% H. illucens peptide extract. In conclusion, using 0.1% or 0.5% H. illucens peptide extract before or after vaccination improved HI titer immune function in broil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fed different levels of Hermetia illucens powder. A total of 400 broiler chicks (1-day old Arbor Acres) were fed commercial diets containing H. illucens powder at 0%, 0.1%, 0.5%, and 1% with four replicates (25 chicks per replicate), for 35 days. Weight gain in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H. illucens powder increased significantly at 28 and 35 day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p<0.05). However, feed intake and mortality showed no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as a function of time. At 21, 28, and 35 days, broilers fed different levels of H. illucens powder had lower feed conversion rates (p<0.05) than their counterparts fed the control diet. In conclusion, 0.5% H. illucens powder is the optimal level for improved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본 논문에서는 세리신잠 실샘 가수분해물(Sericinjam Gland Hydrolysate: SJGH)을 이용하여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노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SJGH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사멸과 세포 내 산화 증가를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또한 SJGH는 저농도의 과산화수소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SA-β-Gal 발현과 MMP-1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고, 반대로 프로콜라겐 I의 생합성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JGH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SJGH가 항노화 화장품의 우수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트윈케이크 및 팩트용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을 아미노산 분석, 항산화, 보습 및 탄력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시험제형의 아미노산은 serine (26.77 %), aspartic (15.47 %), glycine (9.62 %)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serin은 누에분말보다 150 % 이상 함유하고 있었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시험제형이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보다 입자 크기가 작음을 확인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한 시험제형이 비교제형보다 피부 보습력과 탄력성에서 각각 257.2 %와 181.15 %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탄력성을 높인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화장품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