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여가공간으로서의 복합장례시설 연구 - 대구명복공원 일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Complex Funeral Facilities as Cultural and Leisure Space - Focusing on the Daegu Myeongbok Park Are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현대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 핵가족화, 도시화 등의 흐름 속에서 장례문화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사시설의 공간적·사회적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장사시설은 도시 외곽에 위치한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시민의 일상생활과 단절된 채 기능 중심의 시설로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과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장사시설의 문화여 가공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대구명복공원을 사례로 삼아 그 공간 구성, 운영 특성, 이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문헌조사와 현장관찰, 공간구성 및 동선 분석을 통해 문화여가공간으로서 복합장례시설이 갖추어야 할 기능 복합성, 체험 흐름, 상징성, 공공성 등을 평가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지형에 순응한 지하화 전략, 내·외부 공간의 연계 강화, 수공간과 자연경관을 활용한 감성적 공간 연출, 그리고 카페·갤러리 등 복합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시민 접근성 제고 등 마스터플랜 설계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장사시설이 죽음과 삶의 경계를 품은 열린 공공장소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Modern society, facing rapid aging, the rise of nuclear families, and accelerating urbanization, calls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funeral culture. As such, the spatial and social roles of funeral facilities must be redefined. Traditionally located on the outskirts of cities and regarded as undesirable facilities, these spaces have been functionally operated and disconnected from everyday lif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funeral facilities to transform into cultural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s. Focusing on Daegu Myeongbok Park, a representative complex funeral facility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its spatial composition,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observations, spatial analysis, and circulation studies, the research evaluates key factors required for a cultural-leisure complex funeral facility—namely, functional integration, experiential flow, symbolic expression, and public accessibility. In particular, the study proposes specific design strategies for the master plan, including underground spatial organization that harmonizes with the natural topography, enhanced connectivity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the use of water features and natural landscapes for emotional resonance, and the incorporation of programs such as cafes and galleries to promote public engagement. This paper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funeral facilities to function as open public spaces that mediate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도시 장례시설의 구조적 문제와 공간적 패러다임 전환
    2.2 복합장례시설의 등장과 공공문화공간으로의 가능성
    2.3 대구명복공원의 공간 특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필요성
3. 현황분석
    3.1 문화여가공간으로서 기능을 위한 복합장례시설분석의 틀
    3.2 대상지 현황
4. 기본구상
    4.1 대구명복공원의 공간구성 및 장례시설의 기능분석결과
    4.2 주요 전략 및 프로그램
5. 기본계획
    5.1 마스터플랜 구상안
6. 결론
References
저자
  • 신한나(울산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Hanna Shin (Urban&Spatial Reaearch division, Ulsan Research Institute)
  • 김석진(애이아이건축) | Seokjin Kim (AI Architects)
  • 백승만(영남대학교 건축학부) | Seungman Baek (School of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