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목 ‘괴(槐)’ 를 지명소로 하는 지명 유래 연구 KCI 등재

Toponymic Origins of the Morpheme ‘Goe (槐)’ in Korean Place Nam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괴(槐)’를 지명소(地名素)로 포함한 전국의 지명 33개소의 분포와 유래를 규명하고 그 역사적·문 화적·생태적 의미를 고찰한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현장 답사 그리고 구술 자료를 종합하여 진행함 으로써 지명 속에 내재된 괴목의 정체와 상징성을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괴’를 포함한 지명은 주로 법정 동명 형태의 마을명에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빈도의 지명은 괴정리(괴정동), 괴목리(괴목 마을), 괴평리(괴평동), 괴목정마을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명 유래는 괴목 정자, 노거수, 서식지, 당집, 전설, 중국 지명, 주변 지형 등 다양한 요소와 깊이 관련되어 있었다. 특히 회화나무와 느티나 무의 식재지 및·자생지 특성이 지명 형성에 깊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괴’ 지명이 단순한 땅이나 공간의 명칭이 아니라 지역의 생활양식과 문화적 변용, 그리고 환경적 특성 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임을 보여준다. 또한 지명에 내재된 역사·문화·생태적 의미를 밝힘으로써 지명 유래와 문화경관 해석의 기초 자료를 도출하였음은 본 연구의 성과라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and origins of Korean place names containing the morpheme Goe (槐) and examines their historical, cultural, and ecological meaning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s, and oral interviews, tracing the symbolic and contextual significance of Goe in place nam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Goe place names appeared as legal village names and were associated with diverse elements such as pavilions, old trees, natural habitats, village shrines, legends, Chinese place names, and surrounding landforms. In particular, the processes of planting and natural growth of trees wer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these names, showing regional variations in ec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Goe place names are not merely geographic labels but important indicators reflecting local ways of life, cultural transformation, and environmental features. According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ultural, and ecological significance embedded in place name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toponymy and cultural landscape interpreta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괴를 지명소로 하는 지명
    3.2 지명 유래 내용
4. 결론
References
저자
  • 한성주(우석대학교 산림조경원예학과) | Sungju Han (Dept. of Department of Forestry, Landscape Architecture and Horticulture, Woosuk University)
  • 한상엽(한백종합건설 조경팀) | Sangyub Han (Landscape Architecture Team, Hanbaek Construction Co., Ltd.)
  • 이정한(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Junghan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푸름(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Pooreum 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