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심루와 팔대수의 위상 및 경관구조 그리고 복원을 위한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시도되 었다. 이를 위해 먼저 여러 경로를 통해 전승된 여주팔경의 형식과 내용, 그 변천과정을 논의하였으 며 궁극적으로는 청심루와 팔대수를 중심으로 한 원형경관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의미에 주목하였 다. 연구방법으로는 팔경시와 읍지, 과거 도면, 사진 자료를 분석하고, 현장 조사를 병행하였다. 그리고 정수영과 신익성의 회화 자료, 규장각 소장의 고지도, 일제강점기의 실측 자료 등을 검토하 여 청심루의 입지와 팔대수의 배치 및 숲의 우점종과 구조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여주팔경은 국내 전래팔경 중에서도 그 기원을 추적할 수 있는 팔경이자 고지도에 경물명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독보적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주팔경은 여강을 경관 회랑으로 형성한 연계경관적 속성을 지니며, 읍치팔경이면서 동시에 청심루를 중심으로 한 누정팔경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 었다. 청심루는 넓은 조망 범위를 통해 여강을 대표하는 핵심 누정으로 기능하였으며, 팔대수는 청심루와 짝을 이루어 강변의 파노라마 경관을 형성한 중요한 요소였다. 고지도를 통해 드러난 여 주팔경의 배치는 여강 구곡의 성격을 지니며 조선 후기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상징적 경관으로 정 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청심루 평면의 형태와 규모 그리고 경내 식재된 회화나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음은 복원을 위한 매우 고무적 성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여주팔 경의 전승과 경관구조를 실증적으로 구명함으로써 청심루와 팔대수 복원시 학술적 근거를 제공하 고, 향후 여주지역 문화경관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and landscape structure of Cheongsimru and Paldaesu, and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their restorat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encompassed the form, content, trans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eoju Palgyeong (Eight Scenic Views of Yeoju),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original landscape form, structure, and meaning centered on Cheongsimru and Paldaesu. The methodology combined the analysis of historical texts, maps, paintings, architectural drawings, and photographic records with field surveys. In addition, pictorial sources by Jeong Su-yeong and Shin Ik-seong, old maps preserved in the Kyujanggak archives, and measured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examined to reconstruct the spatial location of Cheongsimru as well as the arrangement and dominant spcies and forest structure of Paldaesu. The results indicate that Eight Scenic Views of Yeoju is a unique case among Korea’s traditional scenic systems, as its origins can be historically traced and the scenic names are explicitly recorded in old maps. Eight Scenic Views of Yeoju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 scenic corridor along the Yeogang River, functioning both as a county-level scenic system and as a pavilion-centered composition with Cheongsimru as its dominant vantage point. Cheongsimru served as the representative pavilion of the Yeogang River, offering extensive visual command, while Paldaesu, in conjunction with Cheongsimru, was a key element in shaping the panoramic riverfront landscape. The spatial arrangement of Eight Scenic Views of Yeoju, as revealed in old maps, reflected the structure of the Yeogang Nine Bends and became established as a symbolic landscape embodying regional ident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Importantly, this study confirmed the plan form and scale of Cheongsimru, as well as the existence of pagoda trees planted within its precincts, which provides valuable evidence for future restoration. Overall, the study empirically clarifies the transmission and landscape structure of Eight Scenic Views of Yeoju, offering a scholarly basis for the restoration of Cheongsimru and Paldaesu, and serving as fundamental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Yeoju’s cultural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