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s' infants and toddler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y 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한국비전연구 (Korean Vision Reserch)
한국비전학회 (Korean Vision Academy)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영유 아에게 보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 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와 영유 아의 상호작용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공감능력에도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보육교사의 심 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더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사이에 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공감능 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 상 시켜 공감능력의 인식 수준을 높이고, 더 나아가 영유아에게 보 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 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ative a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provide holistic development and quality child care services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First,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ffects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also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empathic ability; that is, the higher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ic ability, the more positive effects they had on their job stress. Third, th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ic a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which can be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ic ability, the more positive interaction will appear. Fourth, it was verified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meaningful to rai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to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of empathy ability by improving qualitative ability and professionalism, and to provide holistic development and quality child care services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직무스트레스
    2. 상호작용
    3. 심리적 안녕감
    4. 공감능력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3. 연구모형 검증
    4.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김미정(웰페어평생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