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yeol Fortress and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
본고에서는 거창 지역의 성지(城址)와 거열산성(사적) 및 분산성을 검토한 바탕에서 거열성과 거열주 만흥사산성을 비정하고 그 성격을 규명해 보았다. 거열성은 거열(거 타) 지역의 중심적인 성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거창의 중심지에 위치한 고대 산성인 분산성이 그것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곳은 가야 때부터 중요한 지점이었던 것으로 판 단되며, 여기에 성이 축조되어 거열성이라고 지칭되었을 것이다. 거열주 만흥사산성은 건흥산성, 즉 거열산성 2차성에 비정된다. 거열산성 1차성은 6 세기 중엽부터 군사 시설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것을 거열성이라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신라는 당과의 전쟁 도중에 여기에 새로 만흥사산성을 축조하였다. 신라 는 가야 지역을 차지한 뒤 한강 유역과 같이 본격적으로 축성하지 못하였는데, 그 결과 백제에게 이 지역을 내주기도 하였다. 문무왕 13년(673) 만흥사산성의 축조는 당군과 대치하는 상황에서 기존에 뚫렸던 함양-거창-고령 루트를 보완,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 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문헌에 나오는 거열성과 거열주 만흥사산성을 일관성 있게 비정하고자 하였다. 그 논리는 단순한데 거열성과 거열주 만흥사산성은 마치 한산성(이성산성)과 한산주 주장성(남한산성)이 다른 것처럼 다르게 봐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문헌에 나 오는 성을 성지(城址)에 비정하는 것이 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며, 이를 통해 고대 성의 성격과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fortress sites in the Geochang region, focusing on Geoyeol Mountain Fortress (a designated Historic Site) and Bun Hill Fortress,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Geoyeolseong (Geoyeol Fortress) and Geoyeolju Manheungsasanseong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and to clarify their characteristics. Geoyeol Fortress can be regarded as the central fortress of the Geoyeol (Geota) area;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Bun Hill Fortress, the major ancient mountain fortress situated in the center of Geochang, was Geoyeol Fortress. The site appears to have been of strategic importance since the Gaya period, and a fortress constructed there would have been called Geoyeol Fortress.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is identified with Geonheung Mountain Fortress, namely the second fortress of Geoyeol Mountain Fortress. While the first fortress of Geoyeol Mountain Fortress may have been used as a military facility from the mid-6th century, it would not have been referred to as Geoyeol Fortress. During the war with Tang, Silla newly constructed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at this site. After Silla annexed the Gaya region, it did not build fortresses here as systematically as it did in the Han River basin, which eventually allowed Baekje to regain the area. The construction of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in the 13th year of King Munmu (673) should be understood as a defensive measure to reinforce and secure the HamyangGeochangGoryeong route, which had previously been exposed, against the Tang forces. This paper thus aims to consistently identify Geoyeol Fortress and Geoyeolju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as distinct sites. The reasoning is straightforward: just as “Hansanseong” or “Hanseong” (Iseong Hill Fortress) and “Hansanju Jujangseong” (Namhansanseong)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so too must Geoyeol Fortress and Geoyeolju Manheungsa Mountain Fortress be differentiated. Going forward, I hope that the identification of fortresses mentioned in historical texts with actual fortress sites will be pursued in a more systematic manner, thereby enabling more concrete discussions on the character and functions of ancient fortr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