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과園 管理 및 品種에 따른 사과굴나방의 被害와 寄生率 變動 KCI 등재

Seasonal Changes of Leaf Damage and Parasitism of the Apple Leaf Miner, Phyllonorycter ringoniella(Matsumura)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and Varieties in Apple Orchar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1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사과원(園)의 관리상태(管理狀態)에 따른 사과굴나방 피해엽율(被害葉率), 기생봉류(寄生峰類)의 기생률(寄生率), 주요품종(主要品種)에 대한 피해엽율(被害葉率)의 차이(差異)와 세대(世代) 및 피해정도(被害程度)에 따른 피해엽(被害葉) 면적(面積)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사과굴나방의 월(月), 월(月) 및 월(月)의 피해엽율(被害葉率)은 관리소홀원(管理疎忽園)에서 각각(各各) 4.2, 16.0 및 30.7% 였고, 관행방제원(慣行防除園)에서 1.0, 13.2 및 41.1%로 초기(初期)에는 관리소홀원(管理疎忽園)의 피해(被害)가 높았으나 후기(後期)에는 관행방제원(慣行防除園)에서 오히려 높았다. 2. 사과굴나방 기생봉류(寄生峰類)의 기생율(寄生率)은 월(月), 월(月) 및 월(月)에 관리소홀원(管理疎忽園)에서 각각(各各) 21.0, 22.7 및 60.7%였고, 관행방제원(慣行防除園)에서 35.0, 10.4 및 41.9%로 관리소홀원(管理疎忽園)의 월(月) 월동세대(越冬世代)에서 기생율(寄生率)이 가장 높았고, 관행방제원(慣行防除園)에서 월(月)의 기생율(寄生率)이 현저(顯著)히 낮았다. 3. 사과굴나방의 품종별(品種別) 피해(被害)는 스퍼어리브레이즈가 초기(初期)부터 가장 높았고, 후지는 후기(後期)에 높아졌으나, 골덴델리셔스는 세 품종중(品種中) 가장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4. 사과굴나방 1 마리의 가해면적(加害面積)은 1세대(世代)가 로 가장 적었고, 세대(世代)는 였으나, 월동세대(越冬世代)의 신초(新梢) 2차신장엽(次伸長葉)은 로 가장 넓었다. 5. 피해엽면적율(被害葉面績率)은 잎의 크기와 엽당가해충수(葉當加害蟲數)에 따라 달랐으며, 월(月)에 피해엽율(被害葉率)이 , 엽당(葉當) 마리의 가해시(加害時) 피해엽(被害葉)에 대한 피해면적율(被害面積率)은 정도(程度)였다.

Leaf damage rate and actual damaged leaf area by the apple leaf miner (ALM), Phyllonorycter ringoniella(Matsumura), and its parasitism were investigated in 1982 and 1983 in apple orchards. Percent leaf damage was higher in the occasionally sprayed orchards than in the periodically sprayed orchards from May to August, but the trend was reversed after September. Seasonal changes of the leaf damage seemed to be different with the varieties of apple trees. A few species of Eulophidae and Holcothorax testaceipes R. of Encyrtidae were the predominant parasites of the ALM. Overall percent parasitism was highest in the 5th (overwintering) generation, and conspicuously decreased in the 3rd-4th generation (July-August) when insecticides were sprayed periodically. Actual damaged leaf area per mine of the ALM was apparently different with the generations, for the 1st, for the 2nd-4th on the first growth shoot, and for the overwintered generation on the second growth shoot. When ALM leaf damage rate was about , the decrease in the photosynthetic area to the damaged leaf was about .

키워드
저자
  • 李順遠
  • 金錫煥
  • 任明淳
  • 李文弘
  • 玄在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