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록 자연목을 개벌하고 잣나무를 조림했올 때 조림년수의 경과에 따라 토양중의 날개응애 군집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군 수동지성에서 1988년 6월 부터 1989년 5월까지 매월 1회씩 6지역을 조사하여 날개응애 목록을 작성하고 종구성 및 우점종, MGP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기간중 38과 64속 109종의 날개응애가 동정되었으며, 전 조사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광역종은 35종, 일정한 단계에만 출현되어 비교적 환경 선호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협역종은 49종, 전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 하는 산발종은 25종이었다. 날개응애 종수는 조임후 3년 경과지에서 조임후 5년 경과지까 지는 증가했으나 조림년수가 경과할수록 종수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우점종은 골무잔날개응 애, Ceratozetes japonicus를 포함해서 6종이었으며 우점종과 약세종수는 조임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며 중세종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종수백분율은 조임초기에는 P형, 중기는 G형, 후기에는 M형으로 나타났고, 준광역종도 M형으로 나타났다. 개체수백분율에 의 한 MGP분석 II 의 결과는 1, 2, 4구에서는 G형, 3, 5 6구에서는 P형으로 나타났다.
Oribatid mites communities at plantations of the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at the Sudong area, Namyangju-gun, Kyung-gido, Korea. Oribatid mites collected were classified into 38 families, 64 genera, and 109 species. Among them the eurysphere, stenosphere, and sporosphere species were 35, 49, and 25 species, respectively. The species diversity of oribatid mites increased at sites from 3 years after to 5 year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decreased by afforested years. The dominant species of oribated mites at the surveyed areas were 6 species including Ceratozetes japonicus. Number of dominent species and recessive species decreased by afforested years. However, influential spec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MGP analysis I, type G was found in all sites. The eurysphere and the sporosphere species were type G. The stenosphere species were type P at an earlier planting stage, type G at a middle planting stage, type M at a latter planting stage. The semieurysphere species were type M. According to the MGP analysis II, site 1, 2, and 4 were type G, but site 3, 5, and 6 were type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