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록
자연목을 개벌하고 잣나무를 조림했올 때 조림년수의 경과에 따라 토양중의 날개응애 군집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군 수동지성에서 1988년 6월 부터 1989년 5월까지 매월 1회씩 6지역을 조사하여 날개응애 목록을 작성하고 종구성 및 우점종, MGP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기간중 38과 64속 109종의 날개응애가 동정되었으며, 전 조사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광역종은 35종, 일정한 단계에만 출현되어 비교적 환경 선호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협역종은 49종, 전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 하는 산발종은 25종이었다. 날개응애 종수는 조임후 3년 경과지에서 조임후 5년 경과지까 지는 증가했으나 조림년수가 경과할수록 종수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우점종은 골무잔날개응 애, Ceratozetes japonicus를 포함해서 6종이었으며 우점종과 약세종수는 조임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며 중세종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종수백분율은 조임초기에는 P형, 중기는 G형, 후기에는 M형으로 나타났고, 준광역종도 M형으로 나타났다. 개체수백분율에 의 한 MGP분석 II 의 결과는 1, 2, 4구에서는 G형, 3, 5 6구에서는 P형으로 나타났다.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1975년 11월 4일부터 11일 사이에 전북지방의 답작지대에서 의 면적내에 서식하는 거미를 채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늦가을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우점종은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황산적거미(Piratasubpiraticus), 혹황갈애접시거미(Gnathonarium gibberum), 등줄애접시거미(Oedothorax insecticeps)이다. 2. 단위면적당의, 평균서식밀도는 이리에서 125 마리, 진안 102마리, 부안 133마리, 대장 58마리였다. 3. 논거미로서 혹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gibberum), 착살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japonica), 톱니애접시거미(Erigone prominens), 혹갈애접시거미(Erigonidium graminicola) 여덟점꼬마거미(Theridion octomaculaculatum) 들늑대거미 (Lycosa pseudoannulata), 가는줄맛거미(Dolomedes angustivirgatus) 등의 7종이 추가되어 우리나라의 논거미는 55종이 된다.
전북지방의 씨감자 생산적지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고랭지대인 전북 무주군 무풍면 상오정 1대(700-800m)와 평야지인 전주에서 대관령 고랭지 시험장산 원종 남작(Solanum tuberosum Var. Irish Cobbler, Shimabara)과 무주산 재래종 씨감자(품종미상)를 재배하면서 씨감자의 바이러스 이병율 및 재배기간중의 지역별 감염율등을 혈청학적으로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리나라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씨감자의 감자 바이러스 혼합감염율은 이며 바이러스별로는 Potato virus Y(PVY)< Potato Virus(PVX)로서 PVX가 가장 높은 이병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2. 감자바이러스의 1년차 감염율은 무주지방이 , 전주지방이 로서 무주지방이 낮고 특히 곤충매개가 심한 PVY의 감염율은 밖에 안되어 이는 씨감자 생산지로서 적합함을 인정할 수 있었다. 3. 씨감자 자체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대관령산이 , 무주 재래종이 로서 대관령산과 비슷하였고 작황은 대관령 산이 좋았다.
전북지방의 고랭지인 무주에서 진딧물의 밀도조사를 실시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진딧물의 종류는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 4종을 포함하여 37종이었다. 2. 진딧물의 밀도는 평야부보다 훨씬 낮다. 3.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mi), 무테두리진딧물(Lipahis erysimi),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이다. 4. 본 조사지역의 우세종은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누리장진딧물(Aphis clerodendri),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이다. 5. 진딧물의 발생소장은 평야부보다 늦게 출현하고 2순쯤 빠르게 동기주로 이동한다.
1. 1969년 수원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지방의 맥각균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것이다. 2. 목초인 Reed canary grass와 기타화본과잡초인 개밀, 털개밀, 산조풀, 가는산조풀, 김의털, 흰줄갈풀, 띠, 새, 억새, 물억새, 큰기름새, 참억새, 개억새, 솔새, 갈대 등 11속 16종의 기주에서 맥각균의 균핵을 채집하였다. 3. 개밀을 제외한 15종은 한국에서 새로 기록되는 맥각균의 기주이며 이미 보고된 호밀을 합하면 한국산 맥각균의 기주는 12속 17종이 된다. 4. 맥각의 균종은 이미 보고된 Claviceps purpurea 에 새로 C. pucilla 를 추가하여 2종이 된다. 5. 이번 조사에서 수직분포로는 449m인 광교산(수원)항에서 참억새의 맥각균을 채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