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 1832-1883)의 <폴리-베르제르의 바 A Bar at the Folies-Bergère> (1882)에 나타나는 이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alities in Édouard Manet’s A Bar at the Folies-Bergère (1882)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6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본 연구는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 1832-1883)의 <폴리-베르제르의 바 A Bar at the Folies-Bergère> (1882)에 나타나는 이원성들에 관한 연구이다. 마네가 죽기 일 년 전에 남긴 마지막 걸작인 <폴리-베르제르의 바>는 뒤틀린 원근법과 같은, 화면 구성 상의 문제에 있어 현재까지 수많은 수수께끼를 남기고 있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그 수수께끼들을 풀기 위한 열쇠로써, 마네가 살았던 시대에 시대의 복잡한 상황에 초점을 맞추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프랑스의 1860-70년대는 왕정복고 시대의 잔재들과 새롭게 부상하는 신흥 부르주아의 개념들의 혼재로 인해 정치적인 갈등과 분열이 고조되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자화상이 마네의 작품들, 특히 <폴리-베르제르의 바>에 내재된 모순 점들에 영향을 줬으리라는 기대 하에 시작되었다. 첫째로, 본 연구는 <폴리-베르제르의 바>에 나타나는 여급 쉬종(Suzon)의 포드에 주목하였다. 정확한 대칭적 구도로 인하여 영원성을 상징하는 쉬종의 포즈는 ‘이 마고 피에타티스(imago pietatis)’를 의미하는 마네의 다른 작품에서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포즈와 동일하다. 이런 점에서 쉬종은 전통성(traditionality)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폴리-베르제르의 바>의 거울 속 이미지로 나타나는 쉬종의 포즈는 거울 밖의 그녀의 포즈와 다르게 보인다. 거울 이미지의 그녀는 거울 밖의 당당한 모습과는 달리 손님에게 공손하게 허리를 굽힌 포즈를 하고 있으며, 또한 그녀의 이미지는 일시적이고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일시적인 것, 흔들리는 모습은 또한 근대성 (modernity)의 특징이기도 하다. 둘째로, 본 연구는 쉬종이 그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여성 이미지의 두 축인 처녀와 매춘부를 모두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거울 밖에서 꽃과 과일 그리고 술과 함께 있는 쉬종은 앵그르(Ingres)의 <성체와 함께 있는 마리아 Virgin with the Host>(185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녀의 포즈는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 (Marcantonio Raimondi)의 판화들에서 그리스도의 죽음을 애통해하는 성모마리아의 포즈를 재현한다. 그와 반대로, 거울 속의 쉬종은 검은색 정장을 입고 모자를 쓴 남성 앞에서 구부정하게 서있으며, 이는 그 시대에 만연했던 매춘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쉬종은 처녀와 매춘부라는 양극을 모두 상징한다. 이와 같이, 이원적인 전통성과 근대성, 그리고 처녀와 매춘부가 하나의 작품 안에 공존함으로써, 마네의 <폴리-베르제르의 바>는 하나의 해석으로 환원될 수 없는 미스테리한 작품이 되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dualities in Édouard Manet(1832-1883)’s A Bar at the Folies-Bergère (1882). A Bar at the Folies-Bergère, which had been finished a year ago when Manet died, is the work remaining lots of mysteries until now because of its peculiar composition being out of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licate situations of the times in which Manet lived, as a key to solve the riddles. It considers Manet’s A Bar at the Folies-Bergère as a reflection of the times when vestiges of the Imperial Restoration and the new bourgeoisie coexist. First,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pose of Suzon who appears in A Bar at the Folies-Bergère. Suzon’s pose symbolizing eternity owing to its bisymmetry is identical to that of Christ in Manet’s other work meaning imago pietatis. In this respect, Suzon stands for traditionality. In contrast, the pose of Suzon in the mirror image in A Bar at the Folies-Bergère is different from that outside the mirror. She in the mirror image strikes a courteous attitude to her customer. Also, the mirror image also fleeting and faltering, and so symbolizes modernity. Second, the study interprets Suzon as the opposition between a virgin and a whore, which were women images prevalent in the times. Suzon being with flowers, fruits and liquors outside the mirror has the same composition as Ingre’s The Virgin with the Host (1854), and her pose represents that of Virgin Mary mourning the death of Christ in Marcantonio Raimondi’s engravings. On the contrary, Suzon in the mirror stoops in front of a man wearing black suit and hat, which means prostitution prevailing in the times. Therefore, Suzon emblemizes both oppositions of a virgin and a whore. Manet’s A Bar at the Folies-Bergère comes to a mysterious work that cannot be reduced to one interpretation, because these binary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as well as a virgin and a whore coexist in one picture.

목차
Ⅰ. 서론
Ⅱ. 전통 vs. 근대성
Ⅲ. 처녀 vs. 매춘부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전수연(숙명여자대학교) | Sooyoun Je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